함께하는장애인교원노동조합 제9차 중앙집행위원회 회의록
일시: 2025년 2월 26일(수) 오후 10:00
장소: Zoom 화상회의
참석: 김헌용(위원장), 권태홍(시각장애 부위원장), 김소라(경증장애 부위원장), 전소윤(정책실장), 이준수(전남지부장), 박준범(서울지부장), 김태완(대전지부장)
1. 조직 현황 및 주요 업무 보고
가. 조합원 현황 및 정기총회 결과
- 조합원 200명(2월 18일 기준, 신규 가입자 5명)
- 정기총회(2/15) 투표 참여 98명, 두 의안 모두 94표 찬성으로 가결
나. 근무시간 면제제도 현황
- 전남지부: 200시간, 서울지부: 200시간, 대전지부: 320시간, 경기지부: 0시간
다. 부서별/지부별 주요 활동 보고
1) 사무처
- 공식 이메일 변경:
khudt@khudt.net
- 팀벨 문자통역 업무협약: 시간당 3만5천원 협약 추진 중
2) 정책실
가) 교원인권보호위원회 고충 처리 사례
- 강원도교육청 소속 조합원(시각장애) 전보 유예 사례: 국민신문고 신고 후 인사위원회 심의를 통해 전보 유예 승인
- 계원예술대학교 소속 조합원(지체장애) 수업 배정 차별 사례: 복직 예정이나 소속 학과에서 수업 배정 차별(12학점 중 7학점만 배정), 법무부 차별시정위원회에 시정명령 요청
- 전북교육청 소속 조합원(휠체어 사용자·지체장애) 전보 사례: 시설 미비 학교 배정 후 항의로 재발령, 인사 규정 개선 요구
나) 교육부 임용시험 편의지원 정책연구 수의계약 추진 중(장교조 단체협약 근거)
3) 소통실
- 성명서 발표(2/18): “무고한 희생을 애도하며, 교육공동체의 치유와 회복을 바란다”
- 장교조 어시스턴트 GPT 업데이트 완료(매뉴얼 추가 탑재)
4) 시각장애위원회
- 멘토-멘티 사업: 총 6팀 구성 완료, 학교생활 적응 지원 중
5) 지부별 정기총회 결과
- 대전지부(2/17), 경기지부(2/22), 서울지부(2/22) 모두 성공적으로 개최
- 각 지부별 2025년 사업계획 및 예산(150만원) 승인
2. 중점 논의 안건
가. 계원예대 대응 방안
- 현황: 2017년부터 지속된 장애인교원 차별, 2025년 3월 복직 앞두고 수업 배정 차별 지속
- 대응: 보도자료 배포 등 공론화, 법무부 차별시정위원회 시정명령 요청 지속 추진
나. 경기지부 타임오프제 결과(0시간)에 따른 대응 방안
- 노무사, 변호사 자문 및 연대 구성 검토
다. 교과서 대체자료 및 나이스 접근성 개선 방안
- 교사용 교과서 신청 절차 개선 필요
- 김헌용(장교조 위원장), 권태홍(장교조 시각 부위원장), 김정환(교사회장) 간 협의체 구성 추진
- 국특원 주관 교과용도서 대체자료 실무협의체 활동 지속하며 장교조 자체 행동계획 수립
라. 중앙집행위원 활동지원비 운영 방안
- 3월부터 지급 검토, 세금 문제 및 겸직 신고 필요성 검토
마. 자문단 운영 방안
- 3월 초 자문단 오프라인 협의회 개최 예정
- 조합원 법률/노무 상담 시스템 구축
- 자문 사례집 및 진정서 작성 가이드 제작 검토
3. 일반 논의 안건
가. 조직 운영 관련
- 중앙집행위원회 정기 회의: 매주 수요일 오후 10시
- AI 서비스 활용: 3월부터 업무용 AI 서비스 구독 지원
- 멘토-멘티 사업비: 멘토에게 활동비 5만원씩 지급 예정
나. 대외 협력 및 소통 강화
- 소셜미디어 및 블로그 활용 확대
- 언론 대응 전략 논의: 지역 언론 및 소셜미디어 활용 강화
4. 향후 일정 및 주요 과제
가. 경기도 타임오프제 파행 관련 대응 방안 마련
나. 팀벨 업무협약 체결
다. 교원인권보호위원회 사례 지속 관리
라. 3월 5일(수) 오후 10시 제10차 중앙집행위원회 회의 개최
작성자: 김헌용(위원장)
확인자: 중앙집행위원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