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4년도 함께하는장애인교원노동조합 재정 결산 보고서

2024년도 함께하는장애인교원노동조합 재정 결산 보고서

(2024. 1. 1. ~ 2024. 12. 31.)
────────────────────────────────────────

1. 개요

2024년도 재정은 정기총회에서 승인된 예산안에 따라 집행되었음. 월별 재정보고와 결산안 간의 전체적인 내용은 일치하나, 12월 말 기준으로 미수금 및 미지급금 처리에 대한 회계처리 기준(현금주의 vs. 발생주의) 차이가 있어 최종 잔액이 서로 다르게 나타났음(아래 4번에서 상술함).

  • 현금주의(월별 재정보고): 실제로 입출금이 이루어진 시점에 기록함.
  • 발생주의(결산안): 거래가 발생한 시점을 기준으로 기록하며, 12월 말에 발생된 미수금·미지급금을 해당 연도에 반영함.

이에 따라 2024년 12월 말 기준 월별 재정보고상 잔액은 20,159,167원이었으나, 결산안상 잔액은 20,630,987원으로 집계되었음. 이는 집행상의 오류가 아니라 회계처리 방식의 차이에서 기인하는 것임.

(요약)

  • 총 수입: 44,562,684원 (이월금 포함)
  • 총 지출: 23,931,697원
  • 월별 재정보고 잔액(현금주의): 20,159,167원
  • 결산안 잔액(발생주의): 20,630,987원
    (미수·미지급금 처리 차이)

2. 주요 수입 항목

2-1. 이월금

  • 2023년 말 기준 이월된 금액: 4,684,909원
  • 새해 시작 시점에 기본 재원으로 반영됨.

2-2. 조합비

  • 월별 총합: 21,586,700원
  • 대부분 자동이체(CMS)로 납부되고, 약 4~5명의 조합원이 매월 소액(10,000원 단위) 개별 납부를 통해 추가로 조합비를 납부함.
  • 조합의 안정적인 운영 재원을 형성함.

2-3. 정기 후원비

  • 월별 총합: 3,620,000원
  • 매월 280,000원~360,000원 내외 후원금이 꾸준히 유입됨.
  • 조합비 외에 추가적인 고정 수입원으로 기능함.

2-4. 결산이자

  • 금융기관 예치금 등에서 발생하는 이자: 총 14,101원(6월, 12월 발생)
  • 규모는 작지만 조합의 재원 확대에 기여함.

2-5. 지부 이월금

  • 전남지부, 서울지부 등에서 2023년 말 잔액을 반환·이월받아 총 373,434원이 수입으로 편성됨.

2-6. 일시 후원비

  • 여러 기관 및 개인(에이티소프트, 에이씨엔에스, 기타 단체 등)이 일시적으로 후원하여 총 4,150,000원이 유입됨.
  • 장날이 개최된 7월에 큰 금액이 들어와 월별 편차가 발생하기도 함.

2-7. 보상금

  • 국가인권위원회 조사국에서 12월에 지급받은 보상금 1,000,000원을 포함함.

2-8. 기금

  • 이전에 납부했던 사무실 보증금 8,500,000원이 2024년에 환불되어 기금으로 편성됨.

2-9. 환불

  • 장날 교통비, 문자통역비, 회의실 대관료, 행사 음식비 등과 관련하여 총 633,540원이 환불 형태로 들어옴.

가장 큰 비중을 차지하는 항목은 조합비(21,586,700원), 사무실 보증금 환불(8,500,000원), 일시 후원비(4,150,000원), 그리고 정기 후원비(3,620,000원)임.

> (총 수입) 44,562,684원


3. 주요 지출 항목

아래는 각 부서(위원장/수석부위원장, 사무처, 홍보실, 재정국, 정책실, 상설위원회, 지부)별로 예산 현액 대비 실제 집행 액수를 간략히 요약한 것임.

3-1. 위원장/수석부위원장

  • 예산현액: 420,000원(활동비 360,000원 등)
  • 주요 지출
    • 예) 서울지부 총회 음료(20,100원), 디지털교과서 협의회 식사비(54,000원), 청각위 모임 식사비(86,830원) 등
    • 간담회 참석, 행사 지원, 우편비 등의 소액 지출이 주를 이룸.

(예산현액: 420,000원, 실제 지출: 343,650원, 잔액: 76,350원)

3-2. 사무처

  1. 행사 진행비(함께하는 장날)

    • 예산현액: 1,500,000원
    • 주요 지출: 모바일초대장 제작비(55,500원), 장날 기프티콘(130,000원·170,000원), 점심식사(112,500원), 저녁식사(691,000원·369,500원) 등
    • 실제 지출이 1,500,000원을 초과하여 다른 항목 잔액 조정으로 보완함.
  2. 중집위 회의 대관료

    • 예산현액: 900,000원
    • 월별 회의실 대관, 빔·화상캠 대여료 등이 반복적으로 발생
    • 다소 예산액을 초과하여 지출된 달이 있어, 부서 내 다른 예산항목으로 조정함.
  3. 워크숍

    • 예산현액: 500,000원
    • 3대 중집위 해단식 식사비(1차·2차·3차) 등으로 총 498,000원 지출.

(예산현액: 8,700,000원, 실제 지출: 6,148,970원, 잔액: 2,551,030원)

3-3. 홍보실

  • 예산현액: 500,000원
  • 무지개 공모전 및 퀴즈 챌린지 등 홍보성 이벤트에 사용
  • 기프티콘·상품권(약 100,000원~300,000원 단위) 형태로 집행함.

(예산현액: 500,000원, 실제 지출: 400,500원, 잔액: 99,500원)

3-4. 재정국

  1. CMS 수수료
    • 월 약 26,000원 정도 지출, 연간 약 300,000원 수준
  2. 금융결제원 수수료
    • 매월 44,000원씩, 연간 528,000원
  3. 의사소통 지원비
    • 문자통역비 등으로 연간 8,400,000원 배정, 4,949,500원 지출
  4. 교통비 지원
    • 중집위 회의, 간담회, 행사 참석 관련 교통비를 매달 지원
    • 연간 2,500,000원 배정, 2,397,502원 지출

(예산현액: 12,256,000원, 실제 지출: 8,685,547원, 잔액: 3,570,453원)

3-5. 정책실

  1. 법률·노무 자문비
    • 예산액: 4,000,000원
    • 3~12월 동안 변호사·노무사 자문에 매달 200,000원씩 배정하여 집행함.
  2. 지부 설립 지원 등 협의회비
    • 예) 전남·대전·서울·경기도교육청 간담회 식사비 등으로 사용
    • 일부 지부(전남, 서울 등) 예산 교부, 설립 간담회 관련 비용도 포함됨.

(예산현액: 5,500,000원, 실제 지출: 5,271,600원, 잔액: 228,400원)

3-6. 상설위원회

  • 지체위, 시각위, 청각위 등에서 조합원 모임 식사, 기프티콘, 단합대회 비용 등 집행
  • 예산 대비 실제 지출이 비슷하거나 일부 초과·미달된 항목이 있으며 다른 항목 잔액 조정으로 보완함

(예산현액: 1,800,000원 [지체위·시각위·청각위 각 600,000원], 실제 지출: 1,800,000원, 잔액: 0원

3-7. 지부

  • 서울 지부, 전남 지부 등 운영비(각 1,500,000원·900,000원 배정)에서 일부 금액을 사용하고 남은 잔액을 반납함.
  • 지부별 행사, 간담회, 총회 등을 운영비로 집행.

(최종 잔액: 서울지부 1,172,196원, 전남지부 327,151원)

> (총 지출) 23,931,697원


4. 재정 잔액 및 회계 처리 차이

  1. 월별 재정보고(현금주의) 기준: 20,159,167원
    • 실제 입출금이 완료된 내역만을 기록한 결과임.
  2. 결산안(발생주의) 기준: 20,630,987원
    • 12월 말에 발생한 미수금·미지급금을 2024년도 거래로 반영함.
    • 이 항목들은 2025년 1월에 실제로 정산이 이루어졌음.

이 차이는 거래의 존재 시점을 어디에 두느냐(현금 흐름 vs. 거래 발생)에 따른 것으로, 집행 내역 자체가 서로 다른 것은 아님.


5. 결론

  • 2024년도 재정 집행은 정기총회 승인 예산안에 따라 전반적으로 안정적으로 이루어짐.
  • 조합비와 정기 후원비가 주요 고정 수입원으로 안정성을 제공하고, 각종 행사(함께하는 장날, 조합원단합대회 등)와 편의 지원(문자통역·교통비)으로 지출이 많았으나, 전반적인 재정 흐름은 원활함.
  • 현금주의(월별 보고)와 발생주의(결산안) 차이에서 오는 잔액 불일치는 12월 말 미수·미지급금 처리 시점에 기인하는 것으로 확인됨.
  • 향후 재정 관리 방향
    • 큰 행사나 사업이 연말에 몰리지 않도록 일정 계획을 조정하여, 미수·미지급금이 해당 연도 안에 처리될 수 있도록 노력할 필요가 있음.
    • 회계처리 기준(현금주의 vs. 발생주의)에 대한 사전 안내를 강화하여 조합원들이 월별 보고서와 연말 결산 간의 잔액 차이를 쉽게 이해하도록 해야 함.

이상으로 2024년도 재정 결산 보고서를 제출함.
────────────────────────────────────────

작성일: 2025년 2월 3일
작성자: 재정국장 염지현
확인자: 위원장 김헌용