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본 정보
명칭: 함께하는장애인교원노동조합(약칭: 장교조)
영문명: Korea Hamkke Union of Disabled Teachers (KHUDT)
설립일: 2019년 7월 6일
현 위원장: 김헌용 (제4대, 임기: 2025.1.1~2026.12.31)
조합원 규모: 약 200명 (2025년 기준)
소재지: 서울특별시 강동구
연락처: 070-4131-3355 / khudt@khudt.net
설립 배경과 역사
장애인교원은 2007학년도부터 시작된 장애인 구분모집 정책으로 학교에 본격적으로 임용되기 시작했습니다. 2010년대부터 시각장애인 교사 중심의 비공식 모임이 형성되었고, 점차 다양한 장애유형의 교사들이 교류하면서 2019년 7월, 26명의 창립 조합원이 모여 장애인교원으로만 구성된 노동조합을 설립했습니다. 이는 전 세계에서 유일한 사례입니다.
설립 목적
장애인교원의 교육자로서의 전문성을 신장하고, 근무 조건 개선 및 사회적·경제적 지위 향상을 도모하며, 평등한 교육을 실현함으로써 사회통합과 대한민국 교육 발전에 기여하는 것을 목적으로 합니다.
조직 구성
- 중앙: 위원장, 수석부위원장, 시각장애/경증장애 부위원장, 정책실, 재정국, 소통실 등
- 지부: 서울, 전남, 대전, 경기 등 4개 지부 운영
- 상설위원회: 시각장애위원회, 청각장애위원회, 지체장애위원회, 경증장애위원회 등
주요 활동
- 교육부와의 단체교섭: 2023년 6월 첫 단체협약 체결
- 근무환경 개선: 디지털 접근성, 의사소통 지원, 편의시설, 인사제도 개선
- 고충처리: 장애 특성을 고려한 인사 관리, 근로지원인 제도 개선, 문자통역 지원 등
- 정책 개발: 장애인교원법 제정 추진, 장애인교원 인사관리 안내서 개발 지원
- 조합원 교류: 다양한 장애유형 간 이해 증진, 지부별 모임, 멘토-멘티 프로그램 등
최근 주요 성과
- 교육부와 단체협약 체결(2023.6.2)
- 교육부 「장애인교원 인사관리 안내서」 발간 견인(2023.12)
- 나이스 및 교과용도서 접근성 개선
- 청각장애인 교원 의사소통 편의 미제공 차별 시정 권고 견인
- 시도교육청 지역별 근무시간 면제제도 확보
슬로건
"지속 가능한 장교조, 함께 성장하는 장애인교원"
- 2025년 비전
의의
장교조는 '교육', '장애', '노동'의 교차점에서 평등과 인권의 가치를 구현하는 조직입니다. 계단 대신 경사로를, 엘리베이터 버튼에 양각 숫자를, 비상벨과 함께 점멸 유도등을 설치하는 것처럼 작지만 모두를 위한 변화를 만들어가고 있습니다. 전인미답의 길을 '함께' 걸어가는 교원들의 연대체입니다.
"장애인 교사도 다른 교사와 동등한 교권과 교육자로서의 존엄을 누릴 수 있도록 교육계 풍토를 혁신하겠습니다." - 창립선언문 중에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