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 함께하는장애인교원노동조합 정기 총회 자료집

2025 함께하는장애인교원노동조합 정기 총회 자료집

2025년 2월 15일

함께하는장애인교원노동조합 제4대 집행부


목차


들어가며: 조합원들께 드리는 편지

안녕하세요. 김헌용입니다.

정기 총회 자료집에 이렇게 편지를 쓰자니 조금은 쑥스러운 기분이 듭니다. 하지만 만나 뵙기는커녕 한 분 한 분과 갠톡을 주고받거나 통화를 하는 것도 어려운 현실에서, 그나마 조합원님들께서 조금이라도 저와 장교조를 가깝게 느끼셨으면 해서 자료집의 도입부를 서간체로 택해 보았습니다.

이 총회 자료집은 2년이라는 세월의 이야기를 담고 있습니다. 지나간 1년과 다가올 1년에 대한 이야기입니다. 하지만 막상 저 자신을 돌아보면 어제 한 일도 쉽게 까먹고 당장 내일 무슨 일이 일어날지 한 치 앞도 못 내다 보며 그날그날 허덕이며 사는 경우가 많은 것 같습니다. 하물며 1년 전이나 1년 후의 일을 소상하게 복기하고 상상하는 일은 당최 엄두를 내기가 어렵습니다.

그럼에도 노동조합은 한 개인의 소유가 아니기에, 조합원 모두의 공공재이기에 투명하게 운영되어야만 합니다. 그러한 이유로 대한민국은 무려 법률에 총회 개최의 의무를 명시하고 있습니다.

※ 「노동조합법」
제15조
① 노동조합은 매년 1회 이상 총회를 개최하여야 한다.

그래서 미우나 고우나, 비가 오나 눈이 오나, 장교조는 총회를 열어야 합니다. 그래서 이 자료집이 탄생했고, 그 덕분에 저도 이렇게 조합원님들께 편지를 쓰고 있습니다.

2년의 시간 틀 위에서 조직을 조망하는 것은 쉽지 않았습니다. 임기가 끝났지만 끝나기 전까지는 끝난 게 아닌 제3대 집행부 선생님들과, 임기가 시작되었지만 시작하기 전까지는 시작한 게 아닌 제4대 집행부 선생님들을 양쪽에 모셔 두고 45일 동안 번갈아 가며 괴롭힌 끝에서야 비로소 완성되었습니다.

다소 투박하게 이 자료집의 핵심 메시지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습니다.

“1년 동안 우리 참 열심히 잘 했어요. 앞으로도 열심히 잘하겠습니다.”

그런데 이 말씀을 드리기 위해 3, 4대 집행부는 PDF 기준 23페이지의 자료집을 만들었습니다. 사실 그리 재미있지는 않습니다. 그래도 한 번쯤 읽어봐 주십사 부탁을 드립니다. 노동조합이 투명하게 운영되는 것은 무척 중요하니까요!

한편, 이 자료집을 만드는 데 AI가 많은 도움이 되었습니다. 물론 내용을 AI가 만들어 낸 것은 아닙니다. 모든 내용은 집행부 선생님들께서 만들었고, AI는 그것을 조합하고 설명하고 배치했을 뿐입니다. 그럼에도 AI의 발전 덕분에 많은 집행부 선생님들이 몸과 마음을 갈아 넣어 활동한 내용이 고스란히 자료집에 담길 수 있었습니다.

제4대 집행부에서는 AI를 더욱 지혜롭게 활용하여 집행부와 조합원의 거리를 좁히는 데 사용하겠습니다. 더 많은 콘텐츠를 만들고 더 많이 소통하겠습니다. 그러면서도 중앙집행위원님들의 업무를 경감하겠습니다. 집행부가 본연의 업무에 집중할 수 있도록 효과적으로 AI를 사용하겠습니다.

매미는 17년 동안 땅속에 있다가 짧게는 2주밖에 나무 위에서 살지 못하고 생을 마감한다고 하네요. 하지만 이 기간 동안 성대하게 울음소리를 내면서 짝을 찾고, 암컷은 알을 낳아 다음 세대를 준비한다고 합니다. 장교조도 교육계에서 매미처럼 목청껏 울음소리를 내며 변화를 만들기 위해, 그리고 지속 가능한 노동조합을 만들기 위해 보이지 않는 곳에서 부단히 노력하겠습니다!

앞으로도 지켜봐 주세요. 우리가 함께라면 많은 어려움도 해쳐 나갈 수 있다고 믿습니다. 또 찾아뵙겠습니다.

2025년 2월 15일
제4대 위원장 김헌용 올림


I. 2024년도 함께하는장애인교원노동조합 사업 보고서

(2024. 1. 1. ~ 2024. 12. 31.)

1. 개요

2024년은 함께하는장애인교원노동조합(이하 장교조)이 교육부와의 첫 단체협약을 이행하며 청각장애인교원 의사소통 편의제공 시정 권고, AI 디지털교과서(AIDT) 접근성 개선, 교과용도서 대체자료 확대 등 의미 있는 성과를 거둔 해이다. 대전과 경기 지역에 지부를 창립하고 장애 유형별 모임 및 경증장애교사 모임을 활성화함으로써 조직 기반 역시 한층 강화하였다.

본 보고서는 2024년 사업 추진의 주요 활동과 성과를 종합적으로 제시하여, 조합원에게 향후 조합 운영과 정책 활동에 대한 방향성을 안내할 목적으로 작성되었다. 보고서의 구성은 다음과 같다.

  • 2. 정책 및 제도 개선: 청각장애인교원 편의제공 시정 권고 견인, 교과용도서 접근성 개선, 교육정보시스템 웹 접근성 강화, 단체협약 이행 점검, 기타 정책 활동 성과를 정리하였다.
  • 3. 조직 강화 및 지부 설립: 대전·경기지부 창립 과정과 장애 유형별·경증장애교사 모임 등 조직 운영 현황을 다루고 있다.
  • 4. 교육청 협력 및 고충처리: 전남·서울·경기·전북 등 주요 시·도교육청과의 협력 및 근로지원인 제도 개선, 고충처리위원회 운영 등 조합원 권익 보호 활동을 보고한다.
  • 5. 조합원 교류: 함께하는 장날, 지부별 모임, 무지개 공모전, 조합원 단합대회 등 소통·교류 행사를 소개한다.
  • 6. 대외 활동 및 소통: 국회 정책협력, 학술·연대활동, 디지털 소통 채널 확충 등 장교조의 대외적 역할과 홍보 노력을 기술한다.
  • 7. 결론: 2024년 주요 성과를 요약하고 향후 방향을 제시한다.

2. 정책 및 제도 개선

2.1 청각장애인교원 의사소통 편의제공 시정 권고 견인

가. 국가인권위원회 시정 권고(2024년 2월)

  • 장교조가 2023년 1월 제기한 차별 진정과 관련하여 국가인권위는 같은 해 4월, 해당 사건을 직권 조사로 전환하였으며, 2월 14개 시도교육청의 청각장애인교원 의사소통 편의 미제공이 평등권 침해의 차별행위임을 인정
  • 장애인고용부담금 납부가 편의제공 의무 면제의 사유가 될 수 없음을 명확히 한 중요 선례 확립
  • 중증 청각장애인 우선 지원 및 구체적 예산/계획 수립 요구

나. 후속 조치 성과

  • 서울, 인천, 전남 외 14개 교육청에 대한 시정 조치 권고
  • 차별 진정 과정에서의 공로를 인정받아 진정인(배성규 교사)과 장교조에 각각 100만원의 보상금 지급 결정(12월)
  • 경기, 세종 등 일부 교육청에서 2024년도 추경을 통한 예산 편성

2.2 교과용도서 접근성 개선을 위한 공동 대응

가. 모두를위한교과서공동대응그룹 구성 및 운영

  • 3월, 장교조와 한국시각장애교사회, 한국이료교육학회가 공동 대응그룹을 결성함.
  • AIDT와 교과용도서 대체자료 문제를 집중 논의하고, 장애학생과 장애인교원의 교육권 보장을 위한 포괄적 접근을 시도함.

나. AIDT 접근성 보장 활동

  • 6월, 60여 명의 장애인교원으로 구성된 교육부 AIDT 자문단을 구성함.
  • 8월, AIDT 도입 전면 재검토 요구안을 발표함.
  • 10월, KERIS 정제영 원장과 간담회를 통해 AIDT 개발 가이드라인 접근성 항목 구체화, 학교별 AIDT 선정 시 접근성 고려사항 안내, 출판사 접근성 담당자 지정 등에 합의함.
  • 12월, 김예지 의원실 긴급 간담회에 참여하여 추가 논의를 진행함.

다. 대체교과서 개선 활동

  • 8월, 교과서 선정 시 전시본 접근성 보장 관련 공문을 발송함.
  • 9월, 국립특수교육원 주관 대체교과서 실무협의체를 발족(교원·학생·학부모 등 14명 위원)하여 2025학년도 대체교과서 제작·보급 계획과 수요 파악 체계를 논의함.
  • 11월, 백승아 의원실을 통해 교과용도서 대체자료 관련 초중등교육법 개정안을 발의함.

2.3 교육정보시스템 웹 접근성 개선

가. 4세대 나이스 웹 접근성 자문단 운영(7월~12월)

  • 월별 정기 점검 체계를 구축하고, 22개 오류 항목 중 20개를 개선함.
  • 8개 신규 점검 항목을 추가로 발굴하고, 나이스 기본메뉴·프로그램 분배내역·나이스광장 등 전반에 대한 점검 범위를 확정함.
  • ‘나이스 웹접근성 점검 소통방’ 개설을 통해 실시간 점검 및 소통 체계를 마련함.

나. 교육부 K-에듀파인 자문단 참여

  • 3월 제1차 회의에서 위원장(조재학) 및 부위원장(최지욱, 김자영)이 선출됨.
  • 하반기에 웹접근성 직무연수를 개설하고, 기존 매뉴얼을 현행화함.

2.4 단체협약 이행 점검

  • 8~9월, 교육부와의 단체협약 이행 여부를 점검하기 위해 3단계 절차를 수립함.
    1) 교육부 소관 부서별 이행 상황 점검표 작성
    2) 소관 부서별 협의회 개최
    3) 종합 평가 및 후속 조치 계획 수립
  • 8월 30일, 교원양성연수과 예병철 사무관과 1차 미팅을 진행하였으며, 9월 6일 교육부에 이행 결과 자료 요구서를 송부함.

2.5 기타 정책 활동

가. 국가인권위-교육부-장교조 공동 토론회(5월)

  • 국가인권위의 청각장애인교원 의사소통 편의제공 시정 권고에 이어 “장애인교원의 노동환경 차별 시정”을 주제로 토론회가 개최되었으며, 장애인교원의 현황 및 차별 실태, 편의제공 사례 등을 공유하고 정책 변화를 위한 공론화에 기여함.

나. 교육부 정책연구 참여
1) 연구 개요

  • 연구명: “2024년 장애인교원 교육전념 여건 지원 방안 연구”
  • 기간: 2024년 4월 ~ 12월
  • 주관: 교육부 교원정책과
  • 목적: 장애인교원의 교육활동 및 근무여건 개선을 위한 지원 방안 도출

2) 주요 연구 내용

  • 장애인교원 근무지원 안내자료 개발
    • 관리자·동료교사를 위한 단위학교용 안내자료와 근로지원인·수업보조인용 매뉴얼을 각각 작성하여 장애 유형별 지원 지침, 의사소통 지침 등을 제시함.
  • 장애인교원 인식개선 콘텐츠 개발
    • 9월 기초 영상 촬영 완료 후 시각·청각·지체 분야별로 5분 내외 영상을 제작함.
  • 장애인교원 수업사례 수집 및 공유
    • 우수사례 모집 양식을 개발하여 교과별·학교급별 특성을 반영한 운영 노하우를 정리함.
  • 시도교육청 제도 분석
    • 17개 시·도교육청의 장애인교원 인사관리 규정 및 편의지원 조례, 예산 편성 현황 등을 비교·검토함.

다. ‘위기의 특수학급 현실을 진단한다’ 국회 토론회 참여(12월)

  • 통합교육 관련 단체들과 연대하여 장애인교원 관점의 정책 제안을 진행함.

3. 조직 강화 및 지부 설립

3.1 지부 설립 및 운영

가. 대전지부 창립(4월 20일)

  • 대전 지역 170여 명 장애인교원을 대표하는 지부로 출범하였으며, 김태완 교사(대전신흥초등학교)가 초대 지부장으로 선출됨.
  • 7월, 설동호 대전교육감과 면담을 통해 지역 현안을 논의함.

나. 경기지부 창립(12월 13일)

  • 장애인교원 1,100여 명이 소속된 경기도에 지부를 창립하여 박병찬 교사가 초대 지부장으로 선출됨.
  • 경기도교육감 간담회 및 담당 부서와의 협의 내용을 바탕으로 구체적 장애인교원 지원 방안을 전달함.

3.2 장애 유형별 모임 활성화

  • 지체위원회: 1월(순천), 8월(서울) 지역 모임 개최 및 온라인 소통 병행
  • 시각위원회: “선물도 방울방울” 월간 이벤트(상반기), 12월 카카오 점자 캘린더 100여 부 배포
  • 청각위원회: 11월 홍대 지역 모임(11명 참석) 개최, 의사소통 지원 예산 확보 정책 활동
  • 경증장애교사 모임: 5월 및 11월 두 차례 온라인 모임(회당 10여 명 참석), 경증장애교사 고충과 요구사항 수렴

3.3 12월 말 기준 조직 현황

  • 조합원: 194명 (전년 대비 14명 증가)
  • 후원회원: 27명 (전년 대비 7명 증가)
  • 지부: 총 4개(서울, 전남, 대전, 경기)

4. 교육청 협력 및 고충처리

4.1 교육청과의 정책협의

가. 전남교육청

  • 근로지원인, 의사소통, 출퇴근 교통비, 보조공학기기 지원 등의 편의지원 예산을 교부함.

나. 서울시교육청

  • 7월 16일, 장애인교원 업무지원인력 제도 개선 협의회를 개최하여 중등·초등·유아교육과 장학관(사) 및 장애인교원 12명이 참석함.

다. 경기도교육청

  • 4월 12일, 교원인사과장 간담회에서 장애인교원 편의지원 조례 개정안 검토와 현장 어려움을 공유함.
  • 9월, 도 의회에서 경증장애교사 지원 확대, 장애인지원관 지정, 근무환경 실태조사, 의사소통 지원 등을 포함한 조례 일부개정안이 통과됨.
  • 11월 1일, 실무자 협의회를 통해 예산 편성 및 후속 조치를 논의함.
  • 12월 6일, 임태희 교육감과 간담회를 열어 근로지원인 제도 개선, 학교 근무환경 개선, 편의지원 조례 이행방안을 협의함.

라. 전북교육청

  • 8월, 사업부서 협의회를 통해 공단의 근로지원인·보조공학기기 본인부담금 지원 등에 합의함.

4.2 근로지원인 제도 개선

  • 10월 29일, 고용노동부·공단·장교조 3자 협의회를 개최하여 대체인력 운영 방안, 근무시간 조정 및 원격지원 도입, 출장비 지원 기준, 구인시스템 개선 등을 논의함.

4.3 고충처리

가. 고충처리위원회 운영

  • 매월 마지막 주 수요일 정기회의(연 7회)와 상시 상담을 통해 조합원 고충을 처리함.

나. 조합원 고충심사 지원

  • 전남: 근로지원인 공백 관련 3건
  • 경기: 전보 관련 1건

5. 조합원 교류

5.1 함께하는 장날(7월 27일)

  • 창립 5주년을 기념하여 개최하였으며, 조합원 30여 명과 외빈 20여 명이 참석함.
  • 350만여 원의 후원금이 모금되었고, 공로상 및 감사패가 수여됨.
  • 조합원 간 교류의 장을 마련하여 연대의식을 제고함.

5.2 기타 교류 활동

  • 전남지부 호남권 모임: 2월, 8월(각 8명 내외 참석)
  • 제3회 무지개 공모전(7월 27일): 인권 및 교권 주제로 글·그림 부문 공모
  • 조합원 총 단합대회(10월 26일): 장애 유형별 위원회 공동 주최로 전국 20여 명의 조합원이 서울역 인근에서 참여

6. 대외 활동 및 소통

6.1 국회 정책협력

  • 국정감사 대응을 통해 임용시험 편의지원, 자격연수 예산, 교과용도서 대체자료 제작, AIDT 접근성, 장애인 편의시설 설치 기준, 시·도교육청 편의지원 현황 등 8개 분야에 대한 정책 요구를 전달함.

6.2 학술 및 연대활동

  • (연구 및 컨퍼런스) 2023년 12월 말부터 숭실대학교 및 리즈대학교 연구자들이 공동으로 수행한 장교조 설립과 교섭 관련 연구 결과로, 9월 영국 리즈대학교 장애학 컨퍼런스에서 장교조 사례가 소개됨.
  • (통합교육 연대) 전국장애인부모연대 및 교원노조·단체들과 함께 통합교육 관련 연대에 적극적으로 참여하였고, 이는 12월 국회 통합교육 결의안 통과라는 성과로 이어짐.

6.3 디지털 소통 강화

  • 1월, 장교조 챗봇 어시스턴트를 도입하여 조합원 상담 및 정보 제공을 자동화함.
  • 카카오채널 및 SNS를 활성화하고, 정기 보도자료 6건과 다수 언론 인터뷰를 통해 대외 소통을 강화함.

7. 결론

2024년 한 해 동안 장교조는 청각장애인교원의 의사소통 편의제공 시정 권고, AI 디지털교과서(AIDT)와 교과용도서 대체자료 문제에 대한 공동 대응, 그리고 대전·경기지부 창립 등 조직 확대를 통해 장애인교원의 교육권과 노동권을 한층 강화하는 성과를 거두었다. 이러한 성과는 장애인교원들의 근무환경과 권익 보호에 실질적인 변화를 이끌어내는 데에 중요한 토대가 될 수 있으며 조합원 간 연대와 소통 기반 또한 강화되었다는 점에서 의미가 크다.

장교조는 2024년 성과를 바탕으로, 2025년 이후에도 장애인교원의 노동권과 교육권 보장을 위해 더욱 전문적이고 포용적인 활동을 전개할 것이다. 이를 통해 조합원 모두가 안정적이고 지속 가능한 환경에서 성장할 수 있도록 최선을 다할 계획이다.
────────────────────────────────────────

이상으로 2024년도 사업 보고서를 제출합니다.
────────────────────────────────────────

작성일: 2025년 2월 3일
작성자: 제3대 함께하는장애인교원노동조합 중앙집행위원회


II. 2024년도 함께하는장애인교원노동조합 재정 결산 보고서

(2024. 1. 1. ~ 2024. 12. 31.)
────────────────────────────────────────

1. 개요

2024년도 재정은 정기총회에서 승인된 예산안에 따라 집행되었음. 월별 재정보고와 결산안 간의 전체적인 내용은 일치하나, 12월 말 기준으로 미수금 및 미지급금 처리에 대한 회계처리 기준(현금주의 vs. 발생주의) 차이가 있어 최종 잔액이 서로 다르게 나타났음(아래 4번에서 상술함).

  • 현금주의(월별 재정보고): 실제로 입출금이 이루어진 시점에 기록함.
  • 발생주의(결산안): 거래가 발생한 시점을 기준으로 기록하며, 12월 말에 발생된 미수금·미지급금을 해당 연도에 반영함.

이에 따라 2024년 12월 말 기준 월별 재정보고상 잔액은 20,159,167원이었으나, 결산안상 잔액은 20,630,987원으로 집계되었음. 이는 집행상의 오류가 아니라 회계처리 방식의 차이에서 기인하는 것임.

(요약)

  • 총 수입: 44,562,684원 (이월금 포함)
  • 총 지출: 23,931,697원
  • 월별 재정보고 잔액(현금주의): 20,159,167원
  • 결산안 잔액(발생주의): 20,630,987원
    (미수·미지급금 처리 차이)

2. 주요 수입 항목

2-1. 이월금

  • 2023년 말 기준 이월된 금액: 4,684,909원
  • 새해 시작 시점에 기본 재원으로 반영됨.

2-2. 조합비

  • 월별 총합: 21,586,700원
  • 대부분 자동이체(CMS)로 납부되고, 약 4~5명의 조합원이 매월 소액(10,000원 단위) 개별 납부를 통해 추가로 조합비를 납부함.
  • 조합의 안정적인 운영 재원을 형성함.

2-3. 정기 후원비

  • 월별 총합: 3,620,000원
  • 매월 280,000원~360,000원 내외 후원금이 꾸준히 유입됨.
  • 조합비 외에 추가적인 고정 수입원으로 기능함.

2-4. 결산이자

  • 금융기관 예치금 등에서 발생하는 이자: 총 14,101원(6월, 12월 발생)
  • 규모는 작지만 조합의 재원 확대에 기여함.

2-5. 지부 이월금

  • 전남지부, 서울지부에서 2023년 말 잔액을 반환·이월받아 총 373,434원이 수입으로 편성됨.

2-6. 일시 후원비

  • 여러 기관 및 개인(에이티소프트, 에이씨엔에스, 기타 단체 등)이 일시적으로 후원하여 총 4,150,000원이 유입됨.
  • 장날이 개최된 7월에 큰 금액이 들어와 월별 편차가 발생하기도 함.

2-7. 보상금

  • 국가인권위원회 조사국에서 12월에 지급받은 보상금 1,000,000원을 포함함.

2-8. 기금

  • 이전에 납부했던 사무실 보증금 8,500,000원이 2024년에 환불되어 기금으로 편성됨.

2-9. 환불

  • 장날 교통비, 문자통역비, 회의실 대관료, 행사 음식비 등과 관련하여 총 633,540원이 환불 형태로 들어옴.

가장 큰 비중을 차지하는 항목은 조합비(21,586,700원), 사무실 보증금 환불(8,500,000원), 일시 후원비(4,150,000원), 그리고 정기 후원비(3,620,000원)임.

> (총 수입) 44,562,684원


3. 주요 지출 항목

아래는 각 부서(위원장/수석부위원장, 사무처, 홍보실, 재정국, 정책실, 상설위원회, 지부)별로 예산 현액 대비 실제 집행 액수를 간략히 요약한 것임.

3-1. 위원장/수석부위원장

  • 예산현액: 420,000원(활동비 360,000원 등)
  • 주요 지출
    • 예) 서울지부 총회 음료(20,100원), 디지털교과서 협의회 식사비(54,000원), 청각위 모임 식사비(86,830원) 등
    • 간담회 참석, 행사 지원, 우편비 등의 소액 지출이 주를 이룸.

(예산현액: 420,000원, 실제 지출: 343,650원, 잔액: 76,350원)

3-2. 사무처

  1. 행사 진행비(함께하는 장날)

    • 예산현액: 1,500,000원
    • 주요 지출: 모바일초대장 제작비(55,500원), 장날 기프티콘(130,000원·170,000원), 점심식사(112,500원), 저녁식사(691,000원·369,500원) 등
    • 실제 지출이 1,500,000원을 초과하여 다른 항목 잔액 조정으로 보완함.
  2. 중집위 회의 대관료

    • 예산현액: 900,000원
    • 월별 회의실 대관, 빔·화상캠 대여료 등이 반복적으로 발생
    • 다소 예산액을 초과하여 지출된 달이 있어, 부서 내 다른 예산항목으로 조정함.
  3. 워크숍

    • 예산현액: 500,000원
    • 3대 중집위 해단식 식사비(1차·2차·3차) 등으로 총 498,000원 지출.

(예산현액: 8,700,000원, 실제 지출: 6,148,970원, 잔액: 2,551,030원)

3-3. 홍보실

  • 예산현액: 500,000원
  • 무지개 공모전 및 퀴즈 챌린지 등 홍보성 이벤트에 사용
  • 기프티콘·상품권(약 100,000원~300,000원 단위) 형태로 집행함.

(예산현액: 500,000원, 실제 지출: 400,500원, 잔액: 99,500원)

3-4. 재정국

  1. CMS 수수료
    • 월 약 26,000원 정도 지출, 연간 약 300,000원 수준
  2. 금융결제원 수수료
    • 매월 44,000원씩, 연간 528,000원
  3. 의사소통 지원비
    • 문자통역비 등으로 연간 8,400,000원 배정, 4,949,500원 지출
  4. 교통비 지원
    • 중집위 회의, 간담회, 행사 참석 관련 교통비를 매달 지원
    • 연간 2,500,000원 배정, 2,397,502원 지출

(예산현액: 12,256,000원, 실제 지출: 8,685,547원, 잔액: 3,570,453원)

3-5. 정책실

  1. 법률·노무 자문비
    • 예산액: 4,000,000원
    • 3~12월 동안 변호사·노무사 자문에 매달 200,000원씩 배정하여 집행함.
  2. 지부 설립 지원 등 협의회비
    • 예) 전남·대전·서울·경기도교육청 간담회 식사비 등으로 사용
    • 일부 지부(전남, 서울 등) 예산 교부, 설립 간담회 관련 비용도 포함됨.

(예산현액: 5,500,000원, 실제 지출: 5,271,600원, 잔액: 228,400원)

3-6. 상설위원회

  • 지체위, 시각위, 청각위 등에서 조합원 모임 식사, 기프티콘, 단합대회 비용 등 집행
  • 예산 대비 실제 지출이 비슷하거나 일부 초과·미달된 항목이 있으며 다른 항목 잔액 조정으로 보완함

(예산현액: 1,800,000원 [지체위·시각위·청각위 각 600,000원], 실제 지출: 1,800,000원, 잔액: 0원

3-7. 지부

  • 서울 지부, 전남 지부 등 운영비(각 1,500,000원·900,000원 배정)에서 일부 금액을 사용하고 남은 잔액을 반납함.
  • 지부별 행사, 간담회, 총회 등을 운영비로 집행.

(최종 잔액: 서울지부 1,172,196원, 전남지부 327,151원)

> (총 지출) 23,931,697원


4. 재정 잔액 및 회계 처리 차이

  1. 월별 재정보고(현금주의) 기준: 20,159,167원
    • 실제 입출금이 완료된 내역만을 기록한 결과임.
  2. 결산안(발생주의) 기준: 20,630,987원
    • 12월 말에 발생한 미수금·미지급금을 2024년도 거래로 반영함.
    • 이 항목들은 2025년 1월에 실제로 정산이 이루어졌음.

이 차이는 거래의 존재 시점을 어디에 두느냐(현금 흐름 vs. 거래 발생)에 따른 것으로, 집행 내역 자체가 서로 다른 것은 아님.


5. 결론

  • 2024년도 재정 집행은 정기총회 승인 예산안에 따라 전반적으로 안정적으로 이루어짐.
  • 조합비와 정기 후원비가 주요 고정 수입원으로 안정성을 제공하고, 각종 행사(함께하는 장날, 조합원단합대회 등)와 편의 지원(문자통역·교통비)으로 지출이 많았으나, 전반적인 재정 흐름은 원활함.
  • 현금주의(월별 보고)와 발생주의(결산안) 차이에서 오는 잔액 불일치는 12월 말 미수·미지급금 처리 시점에 기인하는 것으로 확인됨.
  • 향후 재정 관리 방향
    • 큰 행사나 사업이 연말에 몰리지 않도록 일정 계획을 조정하여, 미수·미지급금이 해당 연도 안에 처리될 수 있도록 노력할 필요가 있음.
    • 회계처리 기준(현금주의 vs. 발생주의)에 대한 사전 안내를 강화하여 조합원들이 월별 보고서와 연말 결산 간의 잔액 차이를 쉽게 이해하도록 해야 함.

이상으로 2024년도 재정 결산 보고서를 제출함.
────────────────────────────────────────

작성일: 2025년 2월 3일
작성자: 재정국장 염지현
확인자: 위원장 김헌용


III. 2024년도 감사보고서

「 함께하는장애인교원노동조합 」

2024년도 감사 결과

감사 일시: 2025. 2. 12. (수요일)
감사결과 (별첨자료 참고)


2024년도 회계 감사 결과

함께하는장애인교원노동조합 규약 제35조에 따라 2024년도 회계와 업무 전반에 대한 감사를 진행하여
수입과 지출 회계집행 및 업무처리의 적정여부에 대해 감사하고, 발견된 문제점에 대해 시정조치 및 개선방안을 마련하기 위함.


1. 감 사 개 요

  • 감사 일시: 2025 2. 12. (수요일)
  • 감사 장소: 서울 노원구 월계동
  • 감사 범위: 2024. 1. 1. ~ 2024. 12. 31.
  • 감사 근거: 함께하는장애인교원노동조합 규약 제35조 및 회계규정
  • 감사 담당자: 감사위원장
  • 감사 방법: 회계규정에 의한 서류 검토 및 업무담당 면담
  • 중점 감사 분야:
    • 사업비 지출의 효용성 및 일상 경비 지출의 투명성
    • 수입과 지출 관리의 적절성
    • 노조 사업 전반의 효율성 및 효과성

2. 감 사 결 과 잘 한 점

  • 재정에 있어 조합비와 정기 후원비 등 고정 수입원이 탄탄하게 유지되어 재정 건전성에 기여함.
  • 장교조의 많은 활동에 비해 조합비를 절약하고, 부득이 지출 발생 시 최소한의 예산 투입으로 최대 효과를 이끌어낸 중집위원들의 노력이 돋보임.

3. 감 사 지 적 사 항

  • 사무실 보증금 850만원이 2024년에 환불되어 기금으로 편성되었으므로, 이에 대한 기금 활용 방안을 마련하여 조합원에게 안내할 필요가 있음.
  • 조합원들 간의 화합의 장(또는 장애유형별 간담회, 지부 모임 등)의 예산 지출이 작년에 비해 많이 줄어든 점은 조합원의 소속감에 영향을 미칠 수 있으므로, 주기적인 모임 계획과 지출 계획서 작성이 필요함.
  • 장교조의 많은 활동에 비해 홍보 예산 편성 규모가 작고, 지출액도 미미함.

4. 감 사 종 합 의 견

  • 대외 활동이 많은 위원장과 사무총장 등 중앙집행위원들의 활동비를 증액하거나 월별 지급을 통해, 개인의 식사 및 교통비 사용 문화를 개선할 필요가 있음.
  • 함께하는 장날의 경우 일시적 후원비 유입이 많으므로 예산 편성을 늘리고, 장교조와 연대하는 단체나 개인과의 적극적 소통을 위한 예산 계획 마련이 요구됨.
  • 조합원의 애경조사에 대한 구체적 예산 계획을 수립하여, 기쁠 때나 힘들 때 서로를 지원할 수 있는 친목 예산 편성 및 집행 방법을 고려해야 함.
  • 조합 내 다양한 모임(예: 봉사활동, 독서모임, 지부방문 여행 등)을 활성화하고, 타 단체 또는 비장애인들과 함께하는 활동에 대한 적절한 예산 편성도 고민할 필요가 있음.
  • 2024년도 함께하는장애인교원노동조합 규약 제35조 및 회계규정에 의거, 사업 보고서, 재정결산 보고서, 예산안과 결산안이 적정하게 집행되고 작성되었음을 확인함.

감사 위원장 및 감사 위원

  • 감사 위원장: 김대선
  • 감사 위원: ○○○
  • 감사 위원: ○○○

IV. 2025년도 함께하는장애인교원노동조합 사업계획

1. 사업 추진 방향

가. 비전

“지속 가능한 장교조, 함께 성장하는 장애인교원”

나. 핵심 가치

1) 지속가능성: 조직 안정화와 체계적 운영 기반 구축
2) 전문성: 정책 역량 강화와 실무 중심의 활동
3) 포용성: 장애 유형별 특성을 고려한 균형 있는 참여

다. 4대 전략 방향

1) 조직 안정화: 근무시간 면제제도를 활용한 안정적 운영 체계 구축
2) 실무 역량 강화: 정책・법률 전문성 제고 및 디지털 혁신
3) 학교 근무환경 개선: 4대 근무환경 요소 중심의 개선 활동
4) 조직문화 혁신: 장애 유형간 이해 증진 및 포용적 문화 조성

라. 8대 중점 추진과제

1) 지부 기반 확대: 보상 체계 도입, 운영 모델 수립, 네트워크 강화, 신규 지부 설립
2) 조직 기반 강화: 장애 유형별/경증 장애 교원 활동 지원, 후원회원 확대
3) 고충처리 체계화: 고충 예방/해소, 매뉴얼 제작, 맞춤형 지원, 챗봇 활용
4) 연수 체계 구축: 정기 연수, 맞춤형 교육, 체험/교류 프로그램, 에듀테크 활용
5) 정책 역량 강화: 정책 워크숍, 설문조사, 정책 연구, 자료 개발, 사례집 발간
6) 디지털 혁신: 데이터 관리, AI 활용, 보조공학 기술 활용, 소통 채널 고도화
7) 포용적 조직문화 조성: 경험 공유, 참여 확대, 연구 모임, 친목 활동 지원
8) 대외 소통 강화: 교원/장애인 단체 협력, 정책 네트워크 구축, 콘텐츠 발행


2. 2025년도 주요 사업

가. 개요

2025년도 장교조의 주요 사업은 4대 전략 방향을 중심으로 추진합니다. 각 전략 방향은 조합의 비전과 핵심 가치를 구현하기 위한 구체적 실천 전략입니다. 장교조는 각 전략 방향에 따른 중점 추진 과제와 세부 사업들을 통해 장애인교원의 실질적 권익 신장과 조직 역량 강화를 도모하겠습니다.

* 4대 전략 방향별 주요 사업 분류표

전략 방향 주요 사업
1) 조직 안정화 - 지부별 근무시간 면제제도 정착 및 제도 개선
- 신규 지부 설립
- 지부별 면제시간 활용 지원
- 중앙집행위원회 운영
- 정기총회 및 창립기념 행사
2) 실무 역량 강화 - AI 활용 연수
- 4대 근무환경 고충처리
- 교원인권보호 및 법률/노무 자문
- 고충상담 매뉴얼
- 장애인교원 지원 연구 및 법률 제정 추진
- 단체협약 이행 점검 및 국정감사 대응
- 정책 자문
- 맞춤형 연수 및 실무 연수 콘텐츠
- 디지털 업무지원시스템 구축 및 문서관리
- AI 서비스 및 플랫폼 운영
3) 학교 근무환경 개선 - 단체협약 이행점검 및 국정감사 대응
- 물리적 근무환경 실태조사 및 개선
- 웹 접근성 개선 (시각)
- 편의시설 실태조사 (지체/뇌병변)
4) 조직문화 혁신 - AI 상담 및 정보 제공
- 소셜 미디어 및 알림 시스템 운영
- 무지개 공모전
- 장애인의 날 및 세계 장애인의 날 행사
- 경증장애 교원 네트워크 및 행사
- 청각/지체/뇌병변/시각장애위원회별 정기협의회, 고충상담, 멘토링 등
- 지부 조합원 교류 (월례회의, 모임, 자율 연수)
- 의사소통 및 이동 지원

나. 2025년도 사업 내용

1) 조직 안정화: 근무시간 면제제도를 활용한 안정적 운영 체계 구축

[핵심 사업]

지부 기반 확대: 면제시간 운영체계 구축, 신규 지부 설립, 지부별 면제시간 활용 지원 (전남, 서울, 대전, 경기)
정기 회의 운영: 중앙집행위원회 운영 (주간 회의, 워크숍) • 정기 행사: 정기총회, 창립 기념 장날

[세부 사업 내용]

2025년에는 지부 중심의 운영을 강화하고, 조합의 안정적인 운영 체계를 구축하기 위해 근무시간 면제제도를 적극 활용할 계획입니다. 먼저, 위원장 직속으로 각 지부별 근무시간 면제제도 정착을 지원하고, 타 교원노조와의 연대를 통해 제도 개선을 추진할 예정입니다. 전남지부, 서울지부, 대전지부, 경기지부는 각각 면제시간 활용 계획을 수립하고, 지부 운영에 필요한 시간을 효과적으로 사용할 것입니다. 특히, 전남지부서울지부는 각각 200시간, 대전지부는 320시간, 경기지부는 2년 동안 1000시간을 확보하여 안정적 지부 운영을 도모할 계획입니다. 또한, 제5의 신규 지부 설립을 추진하여 조직의 외연을 확장할 것입니다.

사무처는 조합의 핵심 의사결정 기구인 중앙집행위원회를 주간 단위로 정기 운영하고, 분기별 1회 오프라인 워크숍을 개최하여 조합 운영의 효율성을 높일 것입니다. 또한, 2월에는 정기총회를 개최하여 2025년도 사업계획을 확정하고, 7월에는 창립 6주년 기념 함께하는 장날을 개최하여 조합원들의 결속을 다질 예정입니다.

2) 실무 역량 강화: 정책・법률 전문성 제고 및 디지털 혁신

[핵심 사업]

실무 역량 강화: AI 실무 연수
고충처리 체계화: 4대 근무환경 고충처리, 교원인권보호위원회 운영, 법률/노무 자문, 매뉴얼 구축
정책 역량 강화: 교육부 정책연구 지원, 법률제정TF 운영, 단체협약 이행 점검 지원, 국정감사 대응, 정책 자문
연수 체계 구축: 맞춤형 연수, 실무 중심 연수 콘텐츠 구축
디지털 혁신: 디지털 업무지원시스템 구축, 문서관리체계 개선, AI 서비스 운영, 플랫폼 운영

[세부 사업 내용]

조합원들의 실무 역량을 강화하고, 급변하는 교육 환경에 발맞춰 디지털 혁신을 추진합니다. 위원장은 본부 및 지부 실무자를 대상으로 AI 활용법 연수를 실시하여 디지털 업무 역량을 강화할 것입니다.

정책실은 고충처리 체계를 고도화하여 조합원들의 어려움을 실질적으로 해결하고자 합니다. 디지털 접근성, 의사소통, 편의시설, 인사제도 등 4대 근무환경 요소와 관련된 고충처리 체계를 구축하고, 월 1회 교원인권보호위원회를 개최하여 조합원 교육활동 침해 사안에 적극 대응할 것입니다. 또한, 변호사 1인을 추가 위촉하여 법률 및 노무 자문단을 운영하고자 하며, 고충상담 매뉴얼을 제작하여 조합원들에게 실질적인 도움을 줄 것입니다. 교육부와 협력하여 장애인교원 지원방안 연구를 지원하고, 장애인교원법 제정을 위한 TF를 운영하며, 정책 자문위원을 위촉하여 전문적 의견을 수렴할 것입니다. 또한, 2023년에 체결된 단체협약과 관련하여 단체협약 이행 실태조사 및 교육부 협의회를 추진할 것입니다. 국정감사에 효과적으로 대응하기 위해 국회 의원실과 협력하고 질의 요구서를 작성하는 등 정책 역량 강화에도 힘쓸 것입니다.

사무처는 국립특수교육원과 협력하여 맞춤형 연수를 개설하고, 실무 중심의 연수 콘텐츠를 구축하여 조합원들의 전문성 향상을 지원하고자 합니다. 또한, 구글 워크스페이스 도입을 통해 디지털 업무지원시스템을 구축하고, 문서관리체계를 개선하여 업무 효율성을 극대화할 것입니다.

재정국은 AI 서비스 및 화상회의, 클라우드 기반 서비스 구독 관리를 통해 조합의 디지털 혁신을 지원할 것입니다.

3) 학교 근무환경 개선: 4대 근무환경 요소 중심의 개선 활동

[핵심 사업]

근무환경 개선: 단체협약 이행 점검, 국정감사 대응, 물리적 근무환경 실태조사
시각장애위원회: 웹 접근성 개선, 모두를위한교과서공동대응그룹 운영 지원
지체/뇌병변장애위원회: 편의시설 개선 (실태조사)

[세부 사업 내용]

장애인 교원들이 학교 현장에서 겪는 어려움을 해소하고, 실질적인 근무환경 개선을 위해 노력합니다. 위원장은 교육부 단체협약 이행점검 협의회 및 TF 운영을 통해 단체협약 이행을 점검하고, 국정감사 TF 운영을 통해 현장의 목소리를 전달할 것입니다.

정책실은 물리적 근무환경 실태조사를 실시하고, 외부 단체와의 협력을 통해 학교 시설 개선을 위한 노력을 이어갈 것입니다.

시각장애위원회는 4세대 나이스 자문단 운영을 지원하고, 웹 접근성 개선을 통해 시각장애 교원의 정보 접근성을 높일 것입니다. 또한, 모두를위한교과서공동대응그룹 운영을 지원하여 대체자료 사업을 점검하고 AI 디지털교과서 개선을 지원할 것입니다.

지체/뇌병변장애위원회는 학교 편의시설 실태조사를 실시하여 개선 방안을 모색하고자 합니다.

4) 조직문화 혁신: 장애 유형간 이해 증진 및 포용적 문화 조성

[핵심 사업]

디지털 소통: AI 상담 서비스 구축, AI 위클리 리뷰, 소셜 미디어 채널 운영, 온라인 알림 시스템 운영
정기 행사: 무지개 공모전
포용적 조직 문화: 장애인의 날/세계 장애인의 날 온라인 이벤트
경증장애위원회: 실태조사, 네트워크 구축 (간담회), 협의회 운영 (단합대회, 친구 초대)
청각장애위원회: 의사소통 지원 채널 다양화, 정기협의회 (간담회), 고충 상담
지체/뇌병변장애위원회: 정기협의회 (간담회), 고충 상담
시각장애위원회: 신규교사 업무 역량 강화 멘토-멘티제, 신규교사 지원 간담회
지부 조합원 교류: 월례회의, 조합원 모임, 자율 연수
편의 지원: 의사소통 지원(문자/수어 통역), 이동 지원

[세부 사업 내용]

장교조는 장애 유형 간의 이해를 증진하고, 모든 조합원이 함께하는 포용적인 조직문화를 조성하기 위해 노력할 것입니다. 기존의 대변인실과 홍보실을 통합한 소통실은 장교조 어시스턴트 GPT 기능 개선을 통해 AI 상담 서비스를 구축하고, 장애, 교육, 노동, 기술 테마의 연구 보고서를 제공하는 'AI 위클리 리뷰'를 장교조 블로그에 발행할 것입니다. 페이스북, 카카오톡 채널 등 소셜 미디어 채널을 운영하고, 카카오톡 알림톡 도입 및 알리고 서비스 이용을 통해 온라인 알림 시스템을 강화할 것입니다. 또한, 5월부터 7월까지 무지개 공모전을 운영하고, 4월과 12월에는 각각 장애인의 날과 세계 장애인의 날을 기념하는 온라인 이벤트를 개최하여 조합원들의 참여와 소통을 확대할 것입니다.

이번에 신설된 경증장애위원회는 경증장애 교원의 현황 및 기초 조사를 실시하고, 간담회를 통해 네트워크를 구축할 것입니다. 또한, 단합대회 및 친구 초대 행사를 통해 친목을 도모할 것입니다.

청각장애위원회는 문자통역 기관 다양화 및 수어 통역 지원 확대를 통해 의사소통 지원 채널을 다양화하고, 정기협의회 및 고충 상담을 운영하고자 합니다.

지체/뇌병변장애위원회도 정기협의회 및 고충 상담을 운영하여 조합원들의 어려움을 경청하고 지원할 것입니다.

시각장애위원회는 신규교사 업무 역량 강화를 위한 멘토-멘티제를 운영하고, 상·하반기 각 1회 신규교사 참여 간담회를 개최하여 신규 교사들의 학교 적응을 지원할 것입니다.

대전지부 등 각 지부에서는 조합원 교류를 위한 월례회의, 조합원 모임, 원데이 클래스 등 지부 특색에 맞는 사업을 추진할 계획입니다.

재정국은 기존과 마찬가지로 조합원의 노동조합 활동을 보장하기 위한 편의를 지원합니다. 문자통역 및 수어통역 지원, 조합원 행사 참여를 위한 이동 지원 등 의사소통 및 이동 편의를 적극 제공할 것입니다. 특히 함께하는 장날과 같은 전체 조합원 대상 행사에서는 광역교통비 50%, 장애 관련 사유 택시비 50%를 지원하여 조합 활동 참여를 장려할 것입니다.


이상과 같이, 2025년 장교조의 주요 사업은 4대 전략 방향을 중심으로 촘촘히 구성되어 있습니다. 각 사업은 서로 유기적으로 연계되어 장애인교원의 근무환경 개선, 조직 역량 강화, 포용적문화를 정착시키는 데 기여할 것입니다. 이후 부서(본부)와 지부별 세부 추진 계획은 사업별 일정 및 예산 운영계획에 따라 안내될 예정이며, 모든 과정은 중앙집행위원회와 조합원들의 의견수렴을 통해 투명하고 민주적으로 진행하도록 하겠습니다.


3. 예산 계획

가. 수입 계획

1) 조합비: 23,400,000원
2) 후원금: 3,600,000원
3) 기타수입: 100,000원
4) 전년도 이월금: 12,130,987원
총계: 39,230,987원

나. 지출 계획

1)본부 운영비: 33,060,000원
2) 지부 운영비: 6,000,000원
총계: 39,060,000원

다. 예비비 편성: 170,987원


4. 기대효과

가. 조직 측면

1) 분권화된 운영 체계 확립

  • 지부 중심의 활동이 활성화되어, 중앙 의존도를 줄이고 현장 밀착형 사업이 가능해짐.
  • 면제시간 운영, 후원회원 확대, 조직운영비 투명화 등을 통해 내부 안정성이 크게 향상됨.

2) 디지털 혁신에 따른 업무 효율성 증대

  • AI 챗봇, 디지털 업무지원시스템 등 에듀테크를 적극 도입해 실무 부담을 줄이고, 신속한 의사결정을 지원함.
  • 문서관리체계 개선 등으로 부서・지부 간 협업이 원활해지고, 조합원의 접근성도 높아짐.

3) 장기적 재정 안정과 신뢰도 제고

  • 투명한 회계 관리와 CMS 시스템 도입으로 후원자와 조합원들의 신뢰도가 상승하고, 중장기적 후원 확충 기반이 마련됨.
  • 조직 운영이 체계적으로 관리되어, 외부 기관(교육부·국회 등)과 협력 시에도 신뢰 기반이 강화됨.

나. 현장 측면

1) 장애 유형별 맞춤 지원으로 근무환경 실질 개선

  • 시각, 청각, 지체/뇌병변, 경증 등 다양성을 고려한 고충처리 체계와 편의시설 개선으로 실제 학교 현장에서의 어려움을 줄임.
  • 정보 접근성(디지털/의사소통)과 인사제도 개선 등을 통해 교원들이 전문성에 집중할 수 있는 환경이 조성됨.

2) 조합원 교류 활성화로 연대감 강화

  • 지부 행사, 멘토-멘티 프로그램, 온라인 이벤트 등 다채로운 교류 기회를 통해 조합원 간 소속감과 유대감을 높임.
  • 장애 유형 간 경험·정보를 공유하며 상호 이해가 깊어져, 포용적 조직문화가 확대됨.

3) 교권 보호 및 고충 처리 역량 강화

  • AI 챗봇, 맞춤형 매뉴얼, 고충상담 TF 운영을 통해 조합원의 문제 해결 속도와 정확도가 높아짐.
  • 국정감사 및 단체협약 이행 점검 과정에서 제도적 개선을 끌어내, 교권 침해 예방과 권리 보장을 확대할 수 있음.

4) 교육 현장의 장애인식 개선 및 포용적 문화 확산

  • 무지개 공모전, 세계 장애인의 날 등 각종 기념행사를 통해 학생·학부모·교직원 대상 인식 개선 활동을 적극 전개함.
  • 학교 공동체가 장애를 공감하고 지원하는 문화를 형성하여, 궁극적으로 더 나은 학습·근무 환경으로 이어짐.

다. 사회적 측면

1) 입법·제도개선 추진에 따른 장애인교원 권익 보장 강화

  • 법률제정TF, 국회 의원실 간담회 등을 통해 장애인교원법 등 제도개선을 적극 추진함으로써 실효성 있는 지원책을 마련함.
  • 관련 정책연구 결과와 사례집 발간으로 교육부, 지방자치단체, 각급 학교 등에 대한 자문·협력이 확대됨.

2) 대외 인지도와 협력 네트워크 확대

  • 각종 미디어 채널(블로그, SNS, 카카오톡) 운영을 통해 장교조의 위상이 높아지고, 교원노조·장애인 단체 간 연대가 강화됨.
  • 장교조가 주도하거나 참여하는 연대 활동(공동 간담회, 국정감사 질의 등)이 증가해 장애인교원 의제가 사회적 관심사로 부각됨.

3) 포용적 교육환경 형성과 평등사회 기여

  • 장애인교원 고충 해소와 차별 시정을 통해 ‘장애인도 존중받는 학교 문화’가 자리 잡고, 이는 곧 학생들의 인식 변화로 이어짐.
  • 궁극적으로, 장애인권 증진 및 다양성이 존중되는 사회 건설에 기여하여, 더 폭넓은 지지와 참여를 이끌어낼 수 있음.

V. 2025년도 함께하는장애인교원노동조합 예산안

(2025. 1. 1. ~ 2025. 12. 31.)

수입

연번 예산구분 항목 전년도 결산액 단가 단위(인원/시간/건) 집행횟수(연간/월간) 항목별 소계 비고
1 이월금 전년도 이월금 12,130,987 12,130,987 보증금 8,500,000원 제외
2 경상수입 조합비 10,000원 12개월 23,400,000 195명 × 12개월
3 경상수입 정기 후원금 300,000원 12개월 3,600,000 300,000원 × 12개월
4 특별수입 기타 수입(이자 등) 100,000
합계 총 예상 수입 39,230,987

지출

연번 담당부서 예산구분 비목 세목 단가 단위(인원/시간/건) 집행횟수(연간/월간) 항목별 소계 부서별 합계 비고
1 위원장 사업비 활동비 대외 활동비 200,000 1회 200000 400,000 면제시간 제도개선, 국회 의원실 간담회 포함
2 위원장 사업비 활동비 업무 추진비 100000 1회 100000 신규 지부 설립 등
3 위원장 사업비 활동비 AI 실무 연수 100000 1회 100000 신규사업
4 사무처 사업비 회의비 중앙집행위원회 운영 400000 4회 1600000 5,200,000 분기별 오프라인 회의
5 사무처 사업비 회의비 워크숍 운영 400000 1회 400000
6 사무처 사업비 정기행사 함께하는 장날 - 대관비 500000 1회 500000 7월 진행
7 사무처 사업비 정기행사 함께하는 장날 - 물품비 500,000 1회 500000
8 사무처 사업비 정기행사 함께하는 장날 - 다과비 500,000 1회 500000
9 사무처 사업비 정기행사 함께하는 장날 - 식대 1,500,000 1회 1500000
10 사무처 사업비 연수비 실무중심 연수 콘텐츠 구축 200000 1회 200000
11 정책실 사업비 활동비 교원인권보호위원회 회의비 10,000 10회 100000 7,200,000 1회 1만원씩 10개월
12 정책실 사업비 활동비 고충상담 매뉴얼 제작 100000 1회 100000 신규사업
13 정책실 사업비 활동비 장애인교원법 제정 추진 500000 1회 500000
14 정책실 사업비 자문비 법률노무 자문비 200000 32회 6400000 2명×11개월 + 1명×10개월
15 정책실 사업비 활동비 물리적 근무환경 실태연구 100,000 1회 100000 설문조사/행사/간담회/지부모임 활용
16 소통실 사업비 활동비 소셜 미디어 채널 운영 100000 1회 100000 700,000
17 소통실 사업비 활동비 온라인 알림 시스템 운영 300000 1회 300000
18 소통실 사업비 정기행사 무지개 공모전 100,000 1회 100000
19 소통실 사업비 정기행사 장애인의 날 100,000 1회 100000
20 소통실 사업비 정기행사 세계 장애인의 날 100,000 1회 100000
21 재정국 사업비 활동비 임원 활동지원비 4,400,000 1회 4400000 17,160,000 신규사업
22 재정국 사업비 운영비 AI 서비스 운영 2,400,000 1회 2400000 신규사업
23 재정국 사업비 운영비 플랫폼 운영비 360,000 1회 360000
24 재정국 사업비 운영비 CMS 관리비 1,000,000 1회 1000000
25 재정국 사업비 활동비 의사소통 지원비 6,000,000 1회 6000000
26 재정국 사업비 활동비 이동 지원비 3,000,000 1회 3000000 교통비 전액 지원 조건 적용
27 경증장애위원회 사업비 활동비 교원 네트워크 구축비 200,000 1회 200000 600,000 신규사업
28 경증장애위원회 사업비 활동비 협의회 운영비 400000 1회 400000
29 시각장애위원회 사업비 활동비 멘토-멘티제 운영비 300000 1회 300000 600,000
30 시각장애위원회 사업비 활동비 신규교사 지원 간담회 운영비 150000 2회 300000 5월, 10월
31 청각장애위원회 사업비 활동비 의사소통 지원 채널 다양화비 100,000 1회 100000 600,000 비용 상승 대응
32 청각장애위원회 사업비 활동비 정기협의회 간담회비 400,000 1회 400000
33 청각장애위원회 사업비 활동비 고충상담비 100000 1회 100000
34 지체/뇌병변장애위원회 사업비 활동비 편의시설 개선비 100,000 1회 100000 600,000
35 지체/뇌병변장애위원회 사업비 활동비 정기협의회 간담회비 400,000 1회 400000
36 지체/뇌병변장애위원회 사업비 활동비 고충 상담비 100,000 1회 100000
37 전남지부 경상비 운영비 전남지부 운영비 1,500,000 1회 1500000 1,500,000
38 서울지부 경상비 운영비 서울지부 운영비 1,500,000 1회 1500000 1,500,000
39 대전지부 경상비 운영비 대전지부 운영비 1500000 1회 1500000 1500000
40 경기지부 경상비 운영비 경기지부 운영비 1,500,000 1회 1500000 1,500,000
합계 39060000 39060000
예비비(잔액) 170,987 170,987

2024년도 함께하는장애인교원노동조합 감사보고서

2024년도 감사보고서

「 함께하는장애인교원노동조합 」

2024년도 감사 결과

감사 일시: 2025. 2. 12. (수요일)
감사결과 (별첨자료 참고)


2024년도 회계 감사 결과

함께하는장애인교원노동조합 규약 제35조에 따라 2024년도 회계와 업무 전반에 대한 감사를 진행하여
수입과 지출 회계집행 및 업무처리의 적정여부에 대해 감사하고, 발견된 문제점에 대해 시정조치 및 개선방안을 마련하기 위함.


1. 감 사 개 요

  • 감사 일시: 2025 2. 12. (수요일)
  • 감사 장소: 서울 노원구 월계동
  • 감사 범위: 2024. 1. 1. ~ 2024. 12. 31.
  • 감사 근거: 함께하는장애인교원노동조합 규약 제35조 및 회계규정
  • 감사 담당자: 감사위원장
  • 감사 방법: 회계규정에 의한 서류 검토 및 업무담당 면담
  • 중점 감사 분야:
    • 사업비 지출의 효용성 및 일상 경비 지출의 투명성
    • 수입과 지출 관리의 적절성
    • 노조 사업 전반의 효율성 및 효과성

2. 감 사 결 과 잘 한 점

  • 재정에 있어 조합비와 정기 후원비 등 고정 수입원이 탄탄하게 유지되어 재정 건전성에 기여함.
  • 장교조의 많은 활동에 비해 조합비를 절약하고, 부득이 지출 발생 시 최소한의 예산 투입으로 최대 효과를 이끌어낸 중집위원들의 노력이 돋보임.

3. 감 사 지 적 사 항

  • 사무실 보증금 850만원이 2024년에 환불되어 기금으로 편성되었으므로, 이에 대한 기금 활용 방안을 마련하여 조합원에게 안내할 필요가 있음.
  • 조합원들 간의 화합의 장(또는 장애유형별 간담회, 지부 모임 등)의 예산 지출이 작년에 비해 많이 줄어든 점은 조합원의 소속감에 영향을 미칠 수 있으므로, 주기적인 모임 계획과 지출 계획서 작성이 필요함.
  • 장교조의 많은 활동에 비해 홍보 예산 편성 규모가 작고, 지출액도 미미함.

4. 감 사 종 합 의 견

  • 대외 활동이 많은 위원장과 사무총장 등 중앙집행위원들의 활동비를 증액하거나 월별 지급을 통해, 개인의 식사 및 교통비 사용 문화를 개선할 필요가 있음.
  • 함께하는 장날의 경우 일시적 후원비 유입이 많으므로 예산 편성을 늘리고, 장교조와 연대하는 단체나 개인과의 적극적 소통을 위한 예산 계획 마련이 요구됨.
  • 조합원의 애경조사에 대한 구체적 예산 계획을 수립하여, 기쁠 때나 힘들 때 서로를 지원할 수 있는 친목 예산 편성 및 집행 방법을 고려해야 함.
  • 조합 내 다양한 모임(예: 봉사활동, 독서모임, 지부방문 여행 등)을 활성화하고, 타 단체 또는 비장애인들과 함께하는 활동에 대한 적절한 예산 편성도 고민할 필요가 있음.
  • 2024년도 함께하는장애인교원노동조합 규약 제35조 및 회계규정에 의거, 사업 보고서, 재정결산 보고서, 예산안과 결산안이 적정하게 집행되고 작성되었음을 확인함.

감사 위원장 및 감사 위원

  • 감사 위원장: 김대선
  • 감사 위원: ○○○
  • 감사 위원: ○○○

2025년도 함께하는장애인교원노동조합 예산안

2025년도 함께하는장애인교원노동조합 예산안

(2025. 1. 1. ~ 2025. 12. 31.)

수입

연번 예산구분 항목 전년도 결산액 단가 단위(인원/시간/건) 집행횟수(연간/월간) 항목별 소계 비고
1 이월금 전년도 이월금 12,130,987 12,130,987 보증금 8,500,000원 제외
2 경상수입 조합비 10,000원 12개월 23,400,000 195명 × 12개월
3 경상수입 정기 후원금 300,000원 12개월 3,600,000 300,000원 × 12개월
4 특별수입 기타 수입(이자 등) 100,000
합계 총 예상 수입 39,230,987

지출

연번 담당부서 예산구분 비목 세목 단가 단위(인원/시간/건) 집행횟수(연간/월간) 항목별 소계 부서별 합계 비고
1 위원장 사업비 활동비 대외 활동비 200,000 1회 200000 400,000 면제시간 제도개선, 국회 의원실 간담회 포함
2 위원장 사업비 활동비 업무 추진비 100000 1회 100000 신규 지부 설립 등
3 위원장 사업비 활동비 AI 실무 연수 100000 1회 100000 신규사업
4 사무처 사업비 회의비 중앙집행위원회 운영 400000 4회 1600000 5,200,000 분기별 오프라인 회의
5 사무처 사업비 회의비 워크숍 운영 400000 1회 400000
6 사무처 사업비 정기행사 함께하는 장날 - 대관비 500000 1회 500000 7월 진행
7 사무처 사업비 정기행사 함께하는 장날 - 물품비 500,000 1회 500000
8 사무처 사업비 정기행사 함께하는 장날 - 다과비 500,000 1회 500000
9 사무처 사업비 정기행사 함께하는 장날 - 식대 1,500,000 1회 1500000
10 사무처 사업비 연수비 실무중심 연수 콘텐츠 구축 200000 1회 200000
11 정책실 사업비 활동비 교원인권보호위원회 회의비 10,000 10회 100000 7,200,000 1회 1만원씩 10개월
12 정책실 사업비 활동비 고충상담 매뉴얼 제작 100000 1회 100000 신규사업
13 정책실 사업비 활동비 장애인교원법 제정 추진 500000 1회 500000
14 정책실 사업비 자문비 법률노무 자문비 200000 32회 6400000 2명×11개월 + 1명×10개월
15 정책실 사업비 활동비 물리적 근무환경 실태연구 100,000 1회 100000 설문조사/행사/간담회/지부모임 활용
16 소통실 사업비 활동비 소셜 미디어 채널 운영 100000 1회 100000 700,000
17 소통실 사업비 활동비 온라인 알림 시스템 운영 300000 1회 300000
18 소통실 사업비 정기행사 무지개 공모전 100,000 1회 100000
19 소통실 사업비 활동비 장애인의 날 100,000 1회 100000
20 소통실 사업비 정기행사 세계 장애인의 날 100,000 1회 100000
21 재정국 사업비 활동비 임원 활동지원비 4,400,000 1회 4400000 17,160,000 신규사업
22 재정국 사업비 운영비 AI 서비스 운영 2,400,000 1회 2400000 신규사업
23 재정국 사업비 운영비 플랫폼 운영비 360,000 1회 360000
24 재정국 사업비 운영비 CMS 관리비 1,000,000 1회 1000000
25 재정국 사업비 활동비 의사소통 지원비 6,000,000 1회 6000000
26 재정국 사업비 활동비 이동 지원비 3,000,000 1회 3000000 교통비 전액 지원 조건 적용
27 경증장애위원회 사업비 활동비 교원 네트워크 구축비 200,000 1회 200000 600,000 신규사업
28 경증장애위원회 사업비 활동비 협의회 운영비 400000 1회 400000
29 시각장애위원회 사업비 활동비 멘토-멘티제 운영비 300000 1회 300000 600,000
30 시각장애위원회 사업비 활동비 신규교사 지원 간담회 운영비 150000 2회 300000 5월, 10월
31 청각장애위원회 사업비 활동비 의사소통 지원 채널 다양화비 100,000 1회 100000 600,000 비용 상승 대응
32 청각장애위원회 사업비 활동비 정기협의회 간담회비 400,000 1회 400000
33 청각장애위원회 사업비 활동비 고충상담비 100000 1회 100000
34 지체/뇌병변장애위원회 사업비 활동비 편의시설 개선비 100,000 1회 100000 600,000
35 지체/뇌병변장애위원회 사업비 활동비 정기협의회 간담회비 400,000 1회 400000
36 지체/뇌병변장애위원회 사업비 활동비 고충 상담비 100,000 1회 100000
37 전남지부 경상비 운영비 전남지부 운영비 1,500,000 1회 1500000 1,500,000
38 서울지부 경상비 운영비 서울지부 운영비 1,500,000 1회 1500000 1,500,000
39 대전지부 경상비 운영비 대전지부 운영비 1500000 1회 1500000 1500000
40 경기지부 경상비 운영비 경기지부 운영비 1,500,000 1회 1500000 1,500,000
합계 39060000 39060000
예비비(잔액) 170,987 170,987

2025년도 함께하는장애인교원노동조합 사업계획

2025년도 함께하는장애인교원노동조합 사업계획

1. 사업 추진 방향

가. 비전

“지속 가능한 장교조, 함께 성장하는 장애인교원”

나. 핵심 가치

1) 지속가능성: 조직 안정화와 체계적 운영 기반 구축
2) 전문성: 정책 역량 강화와 실무 중심의 활동
3) 포용성: 장애 유형별 특성을 고려한 균형 있는 참여

다. 4대 전략 방향

1) 조직 안정화: 근무시간 면제제도를 활용한 안정적 운영 체계 구축
2) 실무 역량 강화: 정책・법률 전문성 제고 및 디지털 혁신
3) 학교 근무환경 개선: 4대 근무환경 요소 중심의 개선 활동
4) 조직문화 혁신: 장애 유형간 이해 증진 및 포용적 문화 조성

라. 8대 중점 추진과제

1) 지부 기반 확대: 보상 체계 도입, 운영 모델 수립, 네트워크 강화, 신규 지부 설립
2) 조직 기반 강화: 장애 유형별/경증 장애 교원 활동 지원, 후원회원 확대
3) 고충처리 체계화: 고충 예방/해소, 매뉴얼 제작, 맞춤형 지원, 챗봇 활용
4) 연수 체계 구축: 정기 연수, 맞춤형 교육, 체험/교류 프로그램, 에듀테크 활용
5) 정책 역량 강화: 정책 워크숍, 설문조사, 정책 연구, 자료 개발, 사례집 발간
6) 디지털 혁신: 데이터 관리, AI 활용, 보조공학 기술 활용, 소통 채널 고도화
7) 포용적 조직문화 조성: 경험 공유, 참여 확대, 연구 모임, 친목 활동 지원
8) 대외 소통 강화: 교원/장애인 단체 협력, 정책 네트워크 구축, 콘텐츠 발행


2. 2025년도 주요 사업

가. 개요

2025년도 장교조의 주요 사업은 4대 전략 방향을 중심으로 추진합니다. 각 전략 방향은 조합의 비전과 핵심 가치를 구현하기 위한 구체적 실천 전략입니다. 장교조는 각 전략 방향에 따른 중점 추진 과제와 세부 사업들을 통해 장애인교원의 실질적 권익 신장과 조직 역량 강화를 도모하겠습니다.

* 4대 전략 방향별 주요 사업 분류표

전략 방향 주요 사업
1) 조직 안정화 - 지부별 근무시간 면제제도 정착 및 제도 개선
- 신규 지부 설립
- 지부별 면제시간 활용 지원
- 중앙집행위원회 운영
- 정기총회 및 창립기념 행사
2) 실무 역량 강화 - AI 활용 연수
- 4대 근무환경 고충처리
- 교원인권보호 및 법률/노무 자문
- 고충상담 매뉴얼
- 장애인교원 지원 연구 및 법률 제정 추진
- 단체협약 이행 점검 및 국정감사 대응
- 정책 자문
- 맞춤형 연수 및 실무 연수 콘텐츠
- 디지털 업무지원시스템 구축 및 문서관리
- AI 서비스 및 플랫폼 운영
3) 학교 근무환경 개선 - 단체협약 이행점검 및 국정감사 대응
- 물리적 근무환경 실태조사 및 개선
- 웹 접근성 개선 (시각)
- 편의시설 실태조사 (지체/뇌병변)
4) 조직문화 혁신 - AI 상담 및 정보 제공
- 소셜 미디어 및 알림 시스템 운영
- 무지개 공모전
- 장애인의 날 및 세계 장애인의 날 행사
- 경증장애 교원 네트워크 및 행사
- 청각/지체/뇌병변/시각장애위원회별 정기협의회, 고충상담, 멘토링 등
- 지부 조합원 교류 (월례회의, 모임, 자율 연수)
- 의사소통 및 이동 지원

나. 2025년도 사업 내용

1) 조직 안정화: 근무시간 면제제도를 활용한 안정적 운영 체계 구축

[핵심 사업]

지부 기반 확대: 면제시간 운영체계 구축, 신규 지부 설립, 지부별 면제시간 활용 지원 (전남, 서울, 대전, 경기)
정기 회의 운영: 중앙집행위원회 운영 (주간 회의, 워크숍) • 정기 행사: 정기총회, 창립 기념 장날

[세부 사업 내용]

2025년에는 지부 중심의 운영을 강화하고, 조합의 안정적인 운영 체계를 구축하기 위해 근무시간 면제제도를 적극 활용할 계획입니다. 먼저, 위원장 직속으로 각 지부별 근무시간 면제제도 정착을 지원하고, 타 교원노조와의 연대를 통해 제도 개선을 추진할 예정입니다. 전남지부, 서울지부, 대전지부, 경기지부는 각각 면제시간 활용 계획을 수립하고, 지부 운영에 필요한 시간을 효과적으로 사용할 것입니다. 특히, 전남지부서울지부는 각각 200시간, 대전지부는 320시간, 경기지부는 2년 동안 1000시간을 확보하여 안정적 지부 운영을 도모할 계획입니다. 또한, 제5의 신규 지부 설립을 추진하여 조직의 외연을 확장할 것입니다.

사무처는 조합의 핵심 의사결정 기구인 중앙집행위원회를 주간 단위로 정기 운영하고, 분기별 1회 오프라인 워크숍을 개최하여 조합 운영의 효율성을 높일 것입니다. 또한, 2월에는 정기총회를 개최하여 2025년도 사업계획을 확정하고, 7월에는 창립 6주년 기념 함께하는 장날을 개최하여 조합원들의 결속을 다질 예정입니다.

2) 실무 역량 강화: 정책・법률 전문성 제고 및 디지털 혁신

[핵심 사업]

실무 역량 강화: AI 실무 연수
고충처리 체계화: 4대 근무환경 고충처리, 교원인권보호위원회 운영, 법률/노무 자문, 매뉴얼 구축
정책 역량 강화: 교육부 정책연구 지원, 법률제정TF 운영, 단체협약 이행 점검 지원, 국정감사 대응, 정책 자문
연수 체계 구축: 맞춤형 연수, 실무 중심 연수 콘텐츠 구축
디지털 혁신: 디지털 업무지원시스템 구축, 문서관리체계 개선, AI 서비스 운영, 플랫폼 운영

[세부 사업 내용]

조합원들의 실무 역량을 강화하고, 급변하는 교육 환경에 발맞춰 디지털 혁신을 추진합니다. 위원장은 본부 및 지부 실무자를 대상으로 AI 활용법 연수를 실시하여 디지털 업무 역량을 강화할 것입니다.

정책실은 고충처리 체계를 고도화하여 조합원들의 어려움을 실질적으로 해결하고자 합니다. 디지털 접근성, 의사소통, 편의시설, 인사제도 등 4대 근무환경 요소와 관련된 고충처리 체계를 구축하고, 월 1회 교원인권보호위원회를 개최하여 조합원 교육활동 침해 사안에 적극 대응할 것입니다. 또한, 변호사 1인을 추가 위촉하여 법률 및 노무 자문단을 운영하고자 하며, 고충상담 매뉴얼을 제작하여 조합원들에게 실질적인 도움을 줄 것입니다. 교육부와 협력하여 장애인교원 지원방안 연구를 지원하고, 장애인교원법 제정을 위한 TF를 운영하며, 정책 자문위원을 위촉하여 전문적 의견을 수렴할 것입니다. 또한, 2023년에 체결된 단체협약과 관련하여 단체협약 이행 실태조사 및 교육부 협의회를 추진할 것입니다. 국정감사에 효과적으로 대응하기 위해 국회 의원실과 협력하고 질의 요구서를 작성하는 등 정책 역량 강화에도 힘쓸 것입니다.

사무처는 국립특수교육원과 협력하여 맞춤형 연수를 개설하고, 실무 중심의 연수 콘텐츠를 구축하여 조합원들의 전문성 향상을 지원하고자 합니다. 또한, 구글 워크스페이스 도입을 통해 디지털 업무지원시스템을 구축하고, 문서관리체계를 개선하여 업무 효율성을 극대화할 것입니다.

재정국은 AI 서비스 및 화상회의, 클라우드 기반 서비스 구독 관리를 통해 조합의 디지털 혁신을 지원할 것입니다.

3) 학교 근무환경 개선: 4대 근무환경 요소 중심의 개선 활동

[핵심 사업]

근무환경 개선: 단체협약 이행 점검, 국정감사 대응, 물리적 근무환경 실태조사
시각장애위원회: 웹 접근성 개선, 모두를위한교과서공동대응그룹 운영 지원
지체/뇌병변장애위원회: 편의시설 개선 (실태조사)

[세부 사업 내용]

장애인 교원들이 학교 현장에서 겪는 어려움을 해소하고, 실질적인 근무환경 개선을 위해 노력합니다. 위원장은 교육부 단체협약 이행점검 협의회 및 TF 운영을 통해 단체협약 이행을 점검하고, 국정감사 TF 운영을 통해 현장의 목소리를 전달할 것입니다.

정책실은 물리적 근무환경 실태조사를 실시하고, 서울시 디자인재단 등 외부 단체와의 협력을 통해 학교 시설 개선을 위한 노력을 이어갈 것입니다.

시각장애위원회는 4세대 나이스 자문단 운영을 지원하고, 웹 접근성 개선을 통해 시각장애 교원의 정보 접근성을 높일 것입니다. 또한, 모두를위한교과서공동대응그룹 운영을 지원하여 대체자료 사업을 점검하고 AI 디지털교과서 개선을 지원할 것입니다.

지체/뇌병변장애위원회는 학교 편의시설 실태조사를 실시하여 개선 방안을 모색하고자 합니다.

4) 조직문화 혁신: 장애 유형간 이해 증진 및 포용적 문화 조성

[핵심 사업]

디지털 소통: AI 상담 서비스 구축, AI 위클리 리뷰, 소셜 미디어 채널 운영, 온라인 알림 시스템 운영
정기 행사: 무지개 공모전
포용적 조직 문화: 장애인의 날/세계 장애인의 날 온라인 이벤트
경증장애위원회: 실태조사, 네트워크 구축 (간담회), 협의회 운영 (단합대회, 친구 초대)
청각장애위원회: 의사소통 지원 채널 다양화, 정기협의회 (간담회), 고충 상담
지체/뇌병변장애위원회: 정기협의회 (간담회), 고충 상담
시각장애위원회: 신규교사 업무 역량 강화 멘토-멘티제, 신규교사 지원 간담회
지부 조합원 교류: 월례회의, 조합원 모임, 자율 연수
편의 지원: 의사소통 지원(문자/수어 통역), 이동 지원

[세부 사업 내용]

장교조는 장애 유형 간의 이해를 증진하고, 모든 조합원이 함께하는 포용적인 조직문화를 조성하기 위해 노력할 것입니다. 기존의 대변인실과 홍보실을 통합한 소통실은 장교조 어시스턴트 GPT 기능 개선을 통해 AI 상담 서비스를 구축하고, 장애, 교육, 노동, 기술 테마의 연구 보고서를 제공하는 'AI 위클리 리뷰'를 장교조 블로그에 발행할 것입니다. 페이스북, 카카오톡 채널 등 소셜 미디어 채널을 운영하고, 카카오톡 알림톡 도입 및 알리고 서비스 이용을 통해 온라인 알림 시스템을 강화할 것입니다. 또한, 5월부터 7월까지 무지개 공모전을 운영하고, 4월과 12월에는 각각 장애인의 날과 세계 장애인의 날을 기념하는 온라인 이벤트를 개최하여 조합원들의 참여와 소통을 확대할 것입니다.

이번에 신설된 경증장애위원회는 경증장애 교원의 현황 및 기초 조사를 실시하고, 간담회를 통해 네트워크를 구축할 것입니다. 또한, 단합대회 및 친구 초대 행사를 통해 친목을 도모할 것입니다.

청각장애위원회는 문자통역 기관 다양화 및 수어 통역 지원 확대를 통해 의사소통 지원 채널을 다양화하고, 정기협의회 및 고충 상담을 운영하고자 합니다.

지체/뇌병변장애위원회도 정기협의회 및 고충 상담을 운영하여 조합원들의 어려움을 경청하고 지원할 것입니다.

시각장애위원회는 신규교사 업무 역량 강화를 위한 멘토-멘티제를 운영하고, 상·하반기 각 1회 신규교사 참여 간담회를 개최하여 신규 교사들의 학교 적응을 지원할 것입니다.

대전지부 등 각 지부에서는 조합원 교류를 위한 월례회의, 조합원 모임, 원데이 클래스 등 지부 특색에 맞는 사업을 추진할 계획입니다.

재정국은 기존과 마찬가지로 조합원의 노동조합 활동을 보장하기 위한 편의를 지원합니다. 문자통역 및 수어통역 지원, 조합원 행사 참여를 위한 이동 지원 등 의사소통 및 이동 편의를 적극 제공할 것입니다. 특히 함께하는 장날과 같은 전체 조합원 대상 행사에서는 광역교통비 50%, 장애 관련 사유 택시비 50%를 지원하여 조합 활동 참여를 장려할 것입니다.


이상과 같이, 2025년 장교조의 주요 사업은 4대 전략 방향을 중심으로 촘촘히 구성되어 있습니다. 각 사업은 서로 유기적으로 연계되어 장애인교원의 근무환경 개선, 조직 역량 강화, 포용적문화를 정착시키는 데 기여할 것입니다. 이후 부서(본부)와 지부별 세부 추진 계획은 사업별 일정 및 예산 운영계획에 따라 안내될 예정이며, 모든 과정은 중앙집행위원회와 조합원들의 의견수렴을 통해 투명하고 민주적으로 진행하도록 하겠습니다.


3. 예산 계획

가. 수입 계획

1) 조합비: 23,400,000원
2) 후원금: 3,600,000원
3) 기타수입: 100,000원
4) 전년도 이월금: 12,130,987원
총계: 39,230,987원

나. 지출 계획

1) 조직운영비: 16,440,000원
2) 사업비: 15,820,000원
3) 지부운영비: 6,800,000원
총계: 39,060,000원

다. 예비비 편성: 170,987원


4. 기대효과

가. 조직 측면

1) 분권화된 운영 체계 확립

  • 지부 중심의 활동이 활성화되어, 중앙 의존도를 줄이고 현장 밀착형 사업이 가능해짐.
  • 면제시간 운영, 후원회원 확대, 조직운영비 투명화 등을 통해 내부 안정성이 크게 향상됨.

2) 디지털 혁신에 따른 업무 효율성 증대

  • AI 챗봇, 디지털 업무지원시스템 등 에듀테크를 적극 도입해 실무 부담을 줄이고, 신속한 의사결정을 지원함.
  • 문서관리체계 개선 등으로 부서・지부 간 협업이 원활해지고, 조합원의 접근성도 높아짐.

3) 장기적 재정 안정과 신뢰도 제고

  • 투명한 회계 관리와 CMS 시스템 도입으로 후원자와 조합원들의 신뢰도가 상승하고, 중장기적 후원 확충 기반이 마련됨.
  • 조직 운영이 체계적으로 관리되어, 외부 기관(교육부·국회 등)과 협력 시에도 신뢰 기반이 강화됨.

나. 현장 측면

1) 장애 유형별 맞춤 지원으로 근무환경 실질 개선

  • 시각, 청각, 지체/뇌병변, 경증 등 다양성을 고려한 고충처리 체계와 편의시설 개선으로 실제 학교 현장에서의 어려움을 줄임.
  • 정보 접근성(디지털/의사소통)과 인사제도 개선 등을 통해 교원들이 전문성에 집중할 수 있는 환경이 조성됨.

2) 조합원 교류 활성화로 연대감 강화

  • 지부 행사, 멘토-멘티 프로그램, 온라인 이벤트 등 다채로운 교류 기회를 통해 조합원 간 소속감과 유대감을 높임.
  • 장애 유형 간 경험·정보를 공유하며 상호 이해가 깊어져, 포용적 조직문화가 확대됨.

3) 교권 보호 및 고충 처리 역량 강화

  • AI 챗봇, 맞춤형 매뉴얼, 고충상담 TF 운영을 통해 조합원의 문제 해결 속도와 정확도가 높아짐.
  • 국정감사 및 단체협약 이행 점검 과정에서 제도적 개선을 끌어내, 교권 침해 예방과 권리 보장을 확대할 수 있음.

4) 교육 현장의 장애인식 개선 및 포용적 문화 확산

  • 무지개 공모전, 세계 장애인의 날 등 각종 기념행사를 통해 학생·학부모·교직원 대상 인식 개선 활동을 적극 전개함.
  • 학교 공동체가 장애를 공감하고 지원하는 문화를 형성하여, 궁극적으로 더 나은 학습·근무 환경으로 이어짐.

다. 사회적 측면

1) 입법·제도개선 추진에 따른 장애인교원 권익 보장 강화

  • 법률제정TF, 국회 의원실 간담회 등을 통해 장애인교원법 등 제도개선을 적극 추진함으로써 실효성 있는 지원책을 마련함.
  • 관련 정책연구 결과와 사례집 발간으로 교육부, 지방자치단체, 각급 학교 등에 대한 자문·협력이 확대됨.

2) 대외 인지도와 협력 네트워크 확대

  • 각종 미디어 채널(블로그, SNS, 카카오톡) 운영을 통해 장교조의 위상이 높아지고, 교원노조·장애인 단체 간 연대가 강화됨.
  • 장교조가 주도하거나 참여하는 연대 활동(공동 간담회, 국정감사 질의 등)이 증가해 장애인교원 의제가 사회적 관심사로 부각됨.

3) 포용적 교육환경 형성과 평등사회 기여

  • 장애인교원 고충 해소와 차별 시정을 통해 ‘장애인도 존중받는 학교 문화’가 자리 잡고, 이는 곧 학생들의 인식 변화로 이어짐.
  • 궁극적으로, 장애인권 증진 및 다양성이 존중되는 사회 건설에 기여하여, 더 폭넓은 지지와 참여를 이끌어낼 수 있음.

[Q&A] 장애인교원 센스리더 사용 관련 자주 묻는 질문과 답변

* 본 Q&A 모음은 한국시각장애교사회에서 개설한 커뮤니티인 ‘센스리더업무지원방’에서 자주 나온 질문과 답변을 정리한 것입니다. 답변의 정확성을 검증하지 않았으며 답변 내용이 최신 소프트웨어 및 운영 체제 환경과는 다를 수 있습니다.


목차

  1. 업무포탈, 쿨메신저 관련 Q&A
  2. 한글, PDF 관련 Q&A
  3. 센스리더, 윈도우, PC 설정 관련 Q&A
  4. 인터넷, 웹 관련 Q&A
  5. 기타 프로그램 관련 Q&A
  6. 한소네 관련 Q&A
  7. 아이폰 관련 Q&A
  8. 모바일 앱 관련 Q&A
  9. 기타 Q&A

1. 업무포탈, 쿨메신저 관련 Q&A

K-에듀파인 관련

Q: K-에듀파인에서 기안문 본문 내용 진입 및 확인이 어렵습니다. 어떻게 해야 하나요?
A: 메모장에 내용을 작성하여 복사 후 붙여넣기 하세요. 임시저장 후 재부팅하여 접속 후, 편집창 왼쪽 버튼을 클릭하면 내용 및 양식 확인이 가능합니다. 이는 엑스비전과 한컴오피스 간의 호환 문제로, 두 회사 간 협업이 필요합니다.

Q: 결재자 지정 및 공람 지정 시 선택한 사람이 추가되지 않거나, 공람에서 제외되지 않는 문제가 있습니다.
A: 결재자 지정 시, '조회' 후 표에서 사람을 선택하고 '저장'(또는 '추가') 버튼을 눌러야 합니다. 공람 지정 시에는 페이지 하단에 있는 그룹을 체크해야 하며, 페이지 하단부터 화살표로 올라가면서 제외할 그룹이 제외되었는지 확인 후 '확인' 버튼을 눌러야 변경 사항이 적용됩니다. 학교 이름 바로 위에 있는 체크상자에 체크하고 오른쪽으로 옮기기 하면 전체 교직원 공람이 가능합니다.

Q: K-에듀파인에서 과제카드 선택이 어렵습니다. 어떻게 해야 하나요?
A: 과제카드 창에서 접근성 모드를 설정하고, 가상커서를 해제한 후 화살표 키로 이동하여 선택할 수 있습니다. 또는, 가상커서 선택 상태에서 Alt+0을 서너 번 누른 후 화살표 키로 내려 '바디' 다음에 나오는 과제카드명 + 라디오 버튼에서 선택 후, Alt+9로 화면 최상단 헤딩까지 커서를 올린 후 확인 버튼을 누릅니다.

Q: K-에듀파인에서 품의서 작성 시 글자 입력 및 행 추가가 매우 느립니다.
A: 센스리더 사용자 권장 컴퓨터 사양을 확인해 보시고, 음성 엔진을 Large에서 Small로 변경해 보세요.

Q: K-에듀파인 재직증명서는 어디서 발급받나요?
A: 나이스 '인사' 탭 또는 정부24에서 발급 가능합니다. (나이스에서는 '출력'만 가능하고, 정부24에서는 'print to pdf'로 저장 가능)

Q: K-에듀파인에서 공문창에 오류 메시지("문서관리 시스템에 필요한 컨트롤이 설치되어 있지 않거나...")가 뜹니다.
A: 통합설치프로그램을 다운로드하여 설치하거나, 미설치된 프로그램을 모두 설치하세요. 또는, 알림표시줄에서 관련 작업들을 허용해 주세요. (Alt+N)

Q: K-에듀파인에서 첨부파일 다운로드가 안 됩니다.
A: 제어판 > 인터넷 옵션 > 보안 > 보호 모드 사용 해제 후 다운로드해 보세요. 또는, 첨부 파일에 나온 설정대로 해 보세요.

Q: 에듀파인에서 공문 처리할 때 원치 않는데도 자꾸 본문 내용을 읽어주면서 공람 지정이나 과제 카드 선택 등으로 안 빠져나가져서 시간을 낭비하는데, 금방 빠져나오는 방법이 없나요?
A: 가상 커서 사용 또는 해제, 키패드로 결재 정보라 나오는 곳을 왼쪽 클릭.

Q: K-에듀파인에서 품의서 작성할 때 글자 쓰는 부분이나 행 추가하는 부분이 느립니다.
A: (K-에듀파인 자문단 의견 필요)

Q: K-에듀파인에서 공문창을 열면 '문서관리 시스템에 필요한 컨트롤이 설치되어 있지 않거나...' 메시지가 뜹니다.
A: 통합설치프로그램 다운로드하여 설치. 또는, Alt+N 눌러 팝업 뜨는 것 허용. 또는, 인터넷 익스플로러 모드에서 페이지 불러오기.

나이스 관련

Q: 나이스 문서등록대장에서 제목으로 문서를 검색해도 검색되지 않습니다.
A: 제목의 일부분만 입력하여 검색해 보세요. 조회 기간이 등록된 문서의 기간에서 벗어나지 않는지 확인하고, 업무포털을 종료했다가 다시 열어보세요.

Q: 나이스 메뉴 탭이 보이지 않습니다.
A: '메뉴 더보기'를 눌러보거나, 권한이 없으면 안 보일 수 있습니다.

Q: 나이스 통계 메뉴가 다운됩니다.
A: 통계 메뉴 진입 전 스크린리더를 종료하고, 진입 후 다시 실행해 보세요.

Q: 나이스에서 동아리 부서 개설/반 배정은 어떻게 하나요?
A: 동아리 개설 후 담당교사 입력, 해당 학년/반 조회 후 학생 선택, 동아리 선택 후 저장. 복수 동아리일 경우 반 이름(1반, 2반) 입력.

Q: 4세대 나이스에서 그리드 탐색 및 가상커서 사용이 어렵습니다.
A: 가상커서를 켜고 사용하는 것이 현재까지는 권장되며, 센스리더 최신 베타버전(8.3 이상)에서는 테이블 내 컨트롤 종류 읽기가 가능합니다. 가상커서 해제 후 Ctrl+Alt+방향키로 셀 간 이동이 가능합니다.

Q: 4세대 나이스 연말정산 시 인적공제, 금액 등이 보이지 않거나, 업로드 오류, 기부금 누락 등의 문제가 있습니다.
A: PDF 업로드 시 '찾기'로 파일 선택 후, 목록에서 체크박스 선택 후 '등록'해야 합니다. 여러 번 시도하거나, 센스리더를 끄고 정안인의 도움을 받아 등록/확인해야 할 수 있습니다. 소득공제신고서 탭에서 내용을 확인하거나, 세액공제명세서 탭에서 결정세액 및 차감징수액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Q: 4세대 나이스 상단 메뉴, 좌측 메뉴, 중앙 메뉴로 이동하려면 어떻게 해야 하나요?
A: 페이지 상단의 접근성 도움말 메뉴를 확인하거나, 컨트롤+알트 조합키를 사용합니다.

Q: 4세대 나이스 출장 신청 시 출장 종류 선택은 어떻게 하나요?
A: 출장 종류는 기본값으로 관내로 설정되어있지 않으므로, 각종 공개 옵션보다 뒤로 가야한다. 출장 종류를 선택하기 전에 동행자를 입력하면 동행자에게는 해당 내용이 적용되지 않는 버그가 있다.

Q: 4세대 나이스 복무 상신 시 날짜 입력은 어떻게 해야 하나요?
A: 좌우 화살표 키로 연, 월, 일을 지정할 때 음성 출력이 되면 좋겠다.

Q: 4세대 나이스에서 수행평가 성적 입력 시 그리드 접근성이 어떤가요?
A: (명확한 답변 없음, 지속적인 문제 제기 필요)

Q: 4세대 나이스 메뉴얼 최신 버전 파일이 있나요?
A: (파일 확인 필요)

Q: 업무포털 로그인 시 키보드가 작동하지 않습니다.
A: 한글에 내용을 작성하여 붙여넣기 방식으로 로그인하세요.

Q: 업무 포털 로그인을 하면 업무 포털이 떠야 하는데 화면에 아무것도 안 뜨고 로그인이 되지 않습니다.
A: Alt+백슬래시로 화면 재구성.

쿨메신저 관련

Q: 쿨메신저에서 첨부파일을 보낼 때 폴더를 드래그해서 보내려면 어떻게 해야 하나요?
A: 마우스로 드래그하는 것 외에는 불가능합니다. 또는, Ctrl+C로 폴더 복사 후, 쿨메신저 메시지 보내기 창에서 Ctrl+V로 붙여넣기 (메시지 내용 입력까지 가능한지는 확인 필요).

Q: 쿨 메신저에서 메시지 전송할 때 링크를 클릭하면 바로 창이 열리도록 하이퍼 링크를 거는 방법은 무엇인가요?
A: 링크 주소 입력 후, 맨 끝에 커서를 맞춘 다음 스페이스바를 한 번 누르세요.

Q: 쿨메신저 대화 기록 백업은 어떻게 하나요?
A: 쿨메신저의 메시지 관리함을 실행, 우측 상단의 '메시지 다운로드' 아이콘 클릭, 백업 기간 설정 후 '다운로드' 버튼 클릭, 'C:\Users\사용자명\Documents\CoolMessenger Files\Received Files' 경로에 'coolmsg_연도_월_일.xlsx' 형식의 파일로 저장됨. 또는 C:\Users\사용자명\AppData\Local\CoolMessenger\ID\Messages 경로에서 메시지 보관함 파일 자체를 백업.

Q: 쿨메신저 업데이트 이후 메뉴 항목을 읽어주지 않는다.
A: 디스플레이 설정에서 배율 및 레이아웃을 100으로 설정해보세요.

Q: 쿨메신저 업데이트 후, 팝업키를 눌렀을 때 메뉴항목이라고만 읽힙니다.
A: 디스플레이 설정에서 배율 및 레이아웃을 100으로 하면 세부 항목명도 잘 읽어줍니다.


2. 한글, PDF 관련 Q&A

한글 일반

Q: 한글에서 문서 작성 후 한글을 다시 열었는데 표 입력 키가 먹히지 않습니다.
A: 영문 키로 변경 후 시도.

Q: 한글에서 메모 내용을 확인하고 편집하려면 어떻게 해야 하나요?
A: 팝업 키를 눌러 메모 편집으로 내용을 확인합니다. 메모에서 빠져나오려면 Ctrl+PageUp 또는 팝업 키를 누르고 닫기를 선택합니다.

Q: 한글 2022에서 스크린리더가 제대로 읽어주지 않습니다.
A: 윈도우 입력기로 설정(알트 F2)하고, 제4글자판까지 설정, 컨트롤 쉬프트 입력기 전환을 시도한다. 센스리더와 한글의 호환 문제일 수 있으므로 재부팅을 시도한다.

글자/서식 문제

Q: HWPX 파일이 한글 2014에서 열리지 않고 오류 메시지가 출력됩니다.
A: 한글 2020 이상 버전을 설치하거나, HWPX 파일을 HWP로 저장하여 열어보세요. 한컴 자동 업데이트를 통해 최신 버전으로 업데이트하는 것도 방법입니다.

Q: 글자 간격, 줄 간격을 줄이는 단축키는 무엇인가요?
A: (단축키 정보 확인 필요 - 2023-03-08 대화 내용에 언급은 되었으나, 정확한 단축키 정보는 없음)

Q: 특수문자를 음성으로 출력하려면 어떻게 해야 하나요?
A: Alt + Shift + 어퍼스트로피(따옴표) 키를 누르면 특수문자 읽기 설정이 가능합니다. 또는, Ctrl + F10을 눌러 문자표에서 입력할 수 있습니다.

Q: 글자 크기, 색상 등을 센스리더로 확인하려면 어떻게 해야 하나요?
A: 한글에서는 Alt + L 또는 Ctrl + Shift + S (Ctrl + S 아님) 와 같은 방법이 있는지 확인이 필요합니다.

Q: 한글에서 자동 들여쓰기 단축키가 작동하지 않습니다.
A: Shift + Tab 키가 작동하지 않는 경우, 센스리더와 한글 간의 호환 문제일 수 있습니다. 한글과 센스리더를 최신 버전으로 업데이트하거나, 한글을 완전히 삭제 후 재설치해 보세요.

Q: 한글에서 엔터 칠 때마다 숫자가 나오는 (자동 글머리)기능을 읽게 하거나 끄려면 어떻게 하나요?
A: 자동 글머리 기호 넣기 기능을 해제 하려면, 도구-빠른 교정-빠른 교정 내용(Shift+F8) 메뉴에서 [입력 자동 서식] 탭을 선택하고 [자동 글머리 기호 넣기]에 체크를 해제한다. 조판 부호는 보조적인 역할을 하며, 센스리더는 글머리 기호를 직접 읽어주지 않습니다. 전체 복사하여 메모장에 붙여넣으면 글머리 기호를 확인할 수 있습니다.

표 관련

Q: 표 전체를 선택하여 삭제하려면 어떻게 해야 하나요?
A: F5 키를 세 번 눌러 표 전체를 선택하고, 표 셀 속성에서 '글자처럼 취급'을 선택한 후, 표 바로 다음에서 백스페이스 키를 누릅니다. 또는, 표 안에서 Shift + Esc 키를 눌러 빠져나온 다음 삭제합니다.

Q: 표에서 한 줄만 삭제하려면 어떻게 해야 하나요?
A: Alt + Del 키를 눌러 대화상자에서 '줄'을 선택하거나, 삭제할 칸에서 팝업 키를 누르고 'e'를 눌러 셀/칸 지우기 대화상자에서 행 또는 열을 선택합니다. 또는, Ctrl + 백스페이스 키를 누르면 가로줄이 간단하게 삭제됩니다.

Q: 한글에서 알트 델 누르고 줄 지우기를 했더니 위에 한 줄 빼고 나머지 줄들이 다 지워집니다.
A: 중간에 표가 끼어 있어서 발생한 문제.

Q: 한글에서 표 각각의 표가 여러 개 있는데 빈 줄 없이 붙어 있을 때 중간에 낀 표 하나만 깔끔하게 지우려면 어떻게 하나요?
A: F5 3번 - 표 전체 선택 - 표 셀 속성 - 글자처럼 취급 - 표 바로 끝나자마자 백스페이스. 또는, 표 안에서 Shift+Esc로 빠져나온 다음 삭제.

PDF 관련

Q: PDF 파일을 한글 파일로 변환하면 표 양식 등이 깨지지 않나요? 변환은 어떻게 하나요?
A: PDF를 HWP로 변환하면 표 형태, 페이지 서식 등이 달라질 수 있습니다. 원본 데이터를 참고하여 서식을 변경해야 합니다. 변환은 한글 프로그램에서 PDF 파일을 열어 다른 이름으로 저장하거나, 'PDF 파일을 오피스 파일로 변환하기' 기능을 사용합니다. 또는, rpdf나 ezpdf 3.0을 설치하여 HWP로 변환할 수 있습니다.

Q: PDF파일을 크롬이나 엣지에서 열었는데, 제대로 열리지 않습니다.
A: 스캔된 PDF파일은 OCR을 돌려야 한다. 텍스트 기반의 PDF인 경우, PDF파일을 크롬으로 열면 잘 읽힌다.


3. 센스리더/윈도우/PC 설정 관련 Q&A

센스리더 설정 관련

Q: 센스리더를 시작 프로그램으로 설정하려면 어떻게 해야 하나요?
A: 센스리더 일반 메뉴(Ctrl+Alt+.)에서 '시작 프로그램 등록(R)'을 선택하고, '로그온 창에서 프로그램 실행'을 선택 후 확인을 누릅니다.

Q: 센스리더 소리를 이어폰으로만 듣고, 컴퓨터 소리는 외부 스피커로 나오게 하려면 어떻게 해야 하나요?
A: 센스리더 일반 메뉴에서 '음성 엔진 선택(C)'에 들어가, 두 번째 목록상자에서 헤드폰이나 이어폰(보통 '헤드폰 High Definition Audio' 등으로 표시)을 선택합니다. 윈도우 소리 설정에서는 출력 장치가 스피커로 되어 있어야 합니다. (외장형 사운드 카드를 사용하는 것이 더 편리할 수 있습니다.)

Q: 학교 업무와 수업을 획기적으로 바꿔줄 센스리더 꿀팁 3개는 무엇인가요?
A: 1. 센스리더 사운드카드 분리, 2. 한소네를 센스리더의 점자 디스플레이로 사용, 3. 센스리더를 윈도우 로그온 창에서 실행.

Q: 한소네를 센스리더의 점자 디스플레이로 사용하려면 어떻게 해야 하나요?
A: 센스리더 일반 메뉴 - 점자 디스플레이 설정 - 장치 사용에 체크 - 한소네LX 선택 - USB 선택 - 확인. (한소네 점자 디스플레이 드라이버 설치 필요)

Q: 센스리더 업데이트 알림이 뜨지 않게 하려면 어떻게 해야 하나요?
A: 센스리더 메뉴 호출 후, '도움말' 풀다운 메뉴에서 '업그레이드 확인'을 선택 해제합니다.

Q: 센스리더에서 문자 인식이 안 됩니다.
A: 센스리더 더 넥스트 프로페셔널 버전인지 확인하고, 사용자 정보를 삭제 후 다시 등록해 보세요. Ctrl+ 백슬래쉬로 넥스트 버전인지 확인 후, 팝업키를 누르고 S를 눌러 문자인식을 찾습니다.

Q: 센스리더 더 넥스트를 사용하고 있는데, 센스 문자 인식이 안 보입니다.
A: 사용자 정보를 삭제하고 사용자 정보 등록을 다시 합니다. Ctrl+백슬래시 눌렀을 때 넥스트라고 뜨는지 확인.

Q: 센스리더에서 파일 확장자를 읽게 하려면 어떻게 해야 하나요?
A: 시작 키를 누르고 '폴더 옵션' 입력 후 엔터, Ctrl+Tab으로 '보기' 페이지 탭, 고급 설정 트리 뷰에서 '확장자 관련 옵션' 체크 해제합니다.

Q: 센스리더 시작 시 "Brldisp.exe - 시작 지점 없음" 메시지가 뜹니다.
A: 센스리더를 제거 후 재설치하거나, 센스리더 자료실에서 최신 패치를 받아 설치해 보세요.

Q: 센스리더가 한글 문서를 잘 읽지 못하거나 '빈 줄' 메시지만 표시됩니다.
A: K-에듀파인 문제라기보다는 엑스비전과 한글과컴퓨터 간에 해결해야 할 문제입니다.

Q: 센스리더 최신 버전 업데이트 파일은 어디서 받을 수 있나요?
A: 넓은마을 소리샘 또는 엑스비전 홈페이지에서 받을 수 있습니다.

Q: 센스리더 설치가 제대로 되지 않습니다.
A: '센스 클리너'를 이용해 완전히 삭제 후 재설치 해보세요. 설치 패키지 파일(용량이 큰 zip 파일)을 다운로드 받아 압축을 풀고 setup.exe 파일로 설치합니다.

Q: 센스월드 유튜브 검색이 안됩니다.
A: 센스월드에서 로그아웃 후 다시 로그인 해보세요.

Q: 센스월드에서 메시지를 보내려면 어떻게 해야 하나요?
A: 센스월드 메인 메뉴에서 '메시지'를 선택하거나, 채널 위에 있는 '메시지'를 선택합니다.

Q: 센스리더를 새로 설치했는데, 시작 지점을 찾을 수 없다는 경고 메시지가 뜨면서 실행되지 않습니다.
A: 센스리더를 다시 설치하거나, 최신 버전으로 업데이트해 보세요.

Q: 센스리더를 USB에 설치해서 사용 중인데, 갑자기 안 읽혔다가 종료하면 다시 되는 현상이 발생합니다.
A: USB 포트나 USB 자체 문제일 수 있습니다. 물리적으로 헐거워졌을 수도 있으니, 바이러스 검사를 해보거나 디스크 버전 만들기를 다시 해보세요.

Q: 센스리더 8.5 버전 업데이트 후, 가상 커서 해제 시 오류가 발생합니다.
A: (K-에듀파인 문제일 수 있음. 확인 필요)

Q: 센스리더 8.5 업데이트 이후 인터넷에서 테이블 셀 이동 시 컨트롤 종류를 읽어주는 기능은 어떻게 사용하나요?
A: 가상 커서가 선택된 상태에서 컨트롤 + 알트 + 방향키를 누르면 셀 간 이동이 가능하며, 셀 안에 있는 조작 가능한 요소들의 컨트롤 종류를 읽어줍니다.

Q: 센스리더 화면 커튼 켜짐/꺼짐 단축키는 무엇인가요?
A: Ctrl+Alt+백슬래시 (토글키). 스크린 커튼이 켜진 상태에서는 마우스가 동작하지 않고, 화면에는 포인터만 표시됩니다.

Q: 메모장에서 센스리더가 내용을 읽거나 쓰지 못합니다.
A: 센스리더 8.15 베타 버전 설치 또는, '센스리더/인터넷 도구/클라우드 메모장/'을 사용하거나 센스 독서기나 센스 탐색기를 사용합니다.

Q: 컴퓨터를 하면서 파일 추가하려고 하면 자꾸 센스가 바탕화면에 있는 내용을 읽어주는데 해결 방법이 있을까요?
A: 센스월드나 넓은마을 센스리더 자료실에서 베타 패치.

윈도우 설정 관련

Q: 윈도우 로그인 시 비밀번호를 잊어버렸는데, 해결 방법이 있나요?
A: 스크린 리더를 통한 방법은 없고, 다른 부팅 장치로 로그인하여 강제로 비밀번호를 변경해야 합니다. (리눅스 등 다른 운영체제로 접근)

Q: 윈도우 11에서 센스리더랑 업무 포털 이용하는 데 큰 문제가 있나요?
A: 큰 문제는 아니지만 작은 문제가 여러 개 있을 수 있습니다.

Q: 자음 누르고 한자를 눌렀을 때 나오는 특수 기호가 읽히지 않는데, 어떻게 하면 읽을 수 있을까요?
A: 한컴 입력기를 삭제하거나, Ctrl+Shift를 눌러 입력기를 전환한 후 사용.

Q: 한컴 입력기를 삭제하려면 어떻게 해야 하나요?
A: 윈도우 키 + I (설정) -> 시간 및 언어 -> 언어 -> '목록상자 선택안됨 한국어 - 언어 팩 설치됨;...' 에서 스페이스 -> 옵션 버튼 -> '목록상자 선택안됨 Microsoft 입력기 입력기'에서 아래 화살표로 '선택안됨 한컴 입력기 입력기'에 포커스 -> 탭 키로 '제거 버튼'

* 또는, Ctrl+Shift를 같이 누르면 입력기가 전환되는데, 이때 메뉴 활성이라고 음성 출력되면 한자 입력이 가능합니다.  
* 관련 영상: [https://www.youtube.com/watch?v=2DSzUDAc0as](https://www.youtube.com/watch?v=2DSzUDAc0as)

Q: 윈도우11 메모장에서 센스리더가 반응하지 않습니다.
A: 센스리더 8.15 베타 버전 설치. 또는, 센스 독서기나 센스 탐색기 사용.

Q: 파일 확장자 명 나오게 하려면 어떻게 설정해야 하나요?
A: 내 PC - V 눌러 보기에 진입 - H 누르고 F 누름. 또는, 센스리더 도움말 부록 부분 참고.

Q: 윈도우 탐색기에서 엔터를 쳤을 때 목록 상자 항목들이 읽히지 않습니다.
A: 재부팅하거나, 탐색기에서 임의의 폴더 안에 들어갔다 나온 후 탐색기를 종료했다가 다시 실행해 보세요.

Q: 윈도우 설정 메뉴 아이콘을 세로로 배열하려면 어떻게 해야 하나요?
A: 시작 버튼 + 오른쪽 화살표 키를 누릅니다.

Q: 바탕화면 아이콘을 자동으로 정렬하려면 어떻게 해야 하나요?
A: 바탕화면에서 Ctrl+Space로 선택 해제 후 팝업 키, 보기에서 정렬 기준을 선택한다.

Q: 윈도우에서 특정 작업을 자동으로 수행하게 하려면 어떻게 해야 하나요? (예: 컴퓨터 켜자마자 특정 설정 변경)
A: '자동화' 기능을 사용할 수 있는지 확인 필요. (시작 프로그램과는 다른 개념)

Q: 한자 키를 눌러도 특수 기호가 읽히지 않습니다.
A: 한컴 입력기를 삭제하거나, Ctrl+Shift 키를 함께 눌러 입력기를 전환한 후 사용합니다.

Q: 바탕화면에 있는 아이콘들이 수시로 위치가 변경됩니다. 고정하려면 어떻게 해야 하나요?
A: 개인 설정 - 테마 탭 - 바탕화면 아이콘 변경 허용 해제


4. 인터넷/웹 관련 Q&A

센스리더로 웹 탐색

Q: 웹 접근성 사용법 및 단축키는 무엇인가요?
A: 빈 줄, 웹 접근성 사용법 및 단축키 헤딩 1, 현재의 hot key type은 기본 타입과 확장 타입으로 반복 변경 가능. (타입을 바꾸려면 컨트롤, 알트 숫자 9로 변경 가능). 메인 화면 사용법, 메인 화면은 상단 메뉴, 사이드 메뉴, 하단의 현재 열려있는 화면의 메뉴 및 프로그램이 위치한 콘텐츠 영역으로 분리. 메인 화면의 각 영역은 단축키로 바로 이동 가능하며 사이트 맵을 열어 프로그램을 열 수 있음. 메뉴를 클릭하였을 경우 메뉴의 프로그램을 열고 열린 화면에 포커스 이동. 만약 이미 화면이 열려 있는 상태이면 해당 화면을 활성화하여 해당 화면으로 포커스를 이동. 기본 타입) 상단 메뉴 바로 이동은 컨트롤, 알트, I. 기본 타입) 사이드 메뉴 바로 이동은 컨트롤, 알트, J. 기본 타입) 열려있는 화면 메뉴 바로 이동은 컨트롤, 알트, 콤마. 기본 타입) 현재 열려있는 프로그램 화면 바로 이동은 컨트롤, 알트, L. 기본 타입) 메인화면 단축키 롤링은 컨트롤, 알트, K. 기본 타입) 사이트 맵 열기는 컨트롤, 알트, 숫자 5. 기본 타입) 웹 접근성 사용법 열기는 컨트, 알트, H. 확장 타입) 상단 메뉴 바로 이동은 컨트롤, 알트, 숫자 1. 확장 타입) 사이드 메뉴 바로 이동은 컨트롤, 알트, 숫자 2. 확장 타입) 열려있는 화면 메뉴 바로 이동은 컨트롤, 알트, 숫자 4. 확장 타입) 현재 열려있는 프로그램 화면 바로 이동은 컨트롤, 알트, 숫자 3. 확장 타입) 메인화면 단축키 롤링은 컨트롤, 알트, 숫자 7. 확장 타입) 사이트 맵 열기는 컨트롤, 알트, 숫자 5. 확장 타입) 웹 접근성 사용법 열기는 컨트롤, 알트, 숫자 6. 테마 변경은 컨트롤 알트 숫자 0 (일반 테마, 고대비 테마, 블랙 고대비 테마 순으로 반복 변경). 사이트 맵 사용법, 로그인한 사용자가 확인할 수 있는 모든 메뉴 항목을 확인. 단축키를 사용하여 0뎁스 메뉴 항목 간 이동하여 빠르게 메뉴를 탐색. 다음 0뎁스 메뉴 항목으로 이동은 컨트롤 알트 M 키. 이전 0뎁스 메뉴 항목으로 이동은 컨트롤 알트 N 키. 하위 메뉴 항목으로 이동은 위아래 방향키. 그리드 사용법, 그리드는 컨트롤 쉬프트 F12를 눌러 브라우저 탭 키를 사용. 그리드의 진입 시 탭을 사용하여 진입. 그리드의 진입 시 헤더의 전체 선택 체크박스가 있을 경우 이에 포커스가 이루어지면 "행 전체 선택 체크박스"로 읽어줌. 헤더에 편집이 없을 경우 바로 디테일로 이동. 그리드의 디테일에서는 컨트롤 알트 방향키를 이용하여 각 셀에 이동 가능. 그리드의 디테일에서는 엔터를 사용하면 편집모드 및 보기 모드가 변환. 상하좌우 이동은 컨트롤 알트 방향키. 해당 행의 첫 번째 열 이동은 컨트롤 알트 홈 키. 해당 행의 마지막 열 이동은 컨트롤 알트 엔드 키. 해당 열의 첫 번째 행 이동은 컨트롤 알트 페이지 업 키. 해당 열의 마지막 행 이동은 컨트롤 알트 페이지 다운 키. 그리드 밖의 다음 컨트롤로 이동은 컨트롤 알트 O, 또는 컨트롤 아래 방향키. 그리드 밖의 이전 컨트롤로 이동은 컨트롤 알트 U, 또는 컨트롤 위 방향키. 그리드의 편집 모드 및 보기 모드 확인은 컨트롤 알트 엔터 키, esc는 그리드 보기 모드로 전환. 그리드 내 링크 이동은 스페이스 키. 콤보박스 사용법, 콤보박스는 위아래의 방향키를 사용하여 값을 변경 가능. 콤보박스의 목록을 펼칠 때에는 알트 아래 방향키로 목록을 띄우며 방향키로 목록을 확인할 수 있으면 엔터키로 원하는 값을 선택할 수 있음. 콤보 포커스 시 다른 아이템 선택은 위 아래 방향키. 목록 펼치기는 알트 아래 방향키. 펼쳐진 목록 상하 이동은 방향키로 이동 가능. 펼쳐진 목록 닫기는 ESC 키. 펼쳐진 목록에서 선택은 엔터 키. 다이얼로그/알림/확인 팝업 사용법, 펼쳐진 목록에서 선택은 엔터 키. 다이얼로그/알림/확인 팝업 사용법. 알림 팝업 단축키. 다이얼로그 닫기는 ESC 키. 알림 닫기는 ESC 키 또는 엔터 키. 확인 팝업의 취소는 ESC 키. 확인 팝업의 확인은 엔터 키.

Q: 웹 브라우저에서 자주 사용하는 센스리더 탐색 키는 무엇인가요?
A: 다음은 웹 브라우저에서 자주 사용하는 센스리더 탐색 키 13가지입니다.

  * h: 다음 헤딩으로 이동
  * 숫자 1~6키: 헤딩1부터 헤딩6까지 다음 헤딩 레벨로 이동
  * n: 다음 컨트롤(버튼, 라디오버튼, 체크상자, 풀다운 메뉴, 편집창 등)로 이동
  * l: 다음 링크로 이동
  * z: 본문 영역으로 이동
  * i: 목록 내에서 다음 항목으로 이동
  * Ctrl + Alt + 방향키: 테이블 내에서 항목 간 좌우, 위아래 이동
  * F2: 다음 편집창으로 이동
  * F3: 다음 검색한 문자열로 이동 (Ctrl + F로 문자열 검색 후 사용)
  * F4: 다음 텍스트로 이동
  * F6: 다음 브라우저 기능 영역(페이지 영역, 툴바, 탭바)으로 이동
  * Tab: 다음 링크 또는 컨트롤로 이동 (센스리더 포커스 및 브라우저 포커스 동시 이동)
  * Ctrl + Tab: 다음 페이지 탭으로 이동
  * (위 키들은 Shift 키와 함께 누르면 반대 방향으로 이동)

Q: 웹 브라우저 단일키 탐색 시 주의사항은 무엇인가요?
A: 영문 키보드에서 사용해야 하고, Esc를 눌러 입력 모드 종료(센스리더의 경우 '브라우저 탭') 후 사용해야 합니다.

Q: 센스리더 검색어 찾기는 어떻게 사용하나요?
A: 문자열 찾기 대화상자(Ctrl+F)에서 원하는 키워드 입력 -> 탭 키 3번(1/10 형식의 목록상자) ->원하는 검색어에 포커스하고 탭 키 눌러 등록 버튼. 검색어 1 바로 찾기는 브라우저 탭 키에서 7, 검색어 2=8, 검색어 3=9... 검색어 6부터는 키를 따로 등록.

Q: 센스리더로 인터넷 탐색 시, 테이블 형태로 배치된 요소들을 셀 단위로 탐색하려면 어떻게 해야 하나요?
A: 가상 커서가 선택된 상태에서 Ctrl+Alt+방향키를 누르면 셀 간 이동이 가능합니다.

Q: 센스리더로 웹페이지 탐색 시, 특정 객체 종류나 컨트롤들을 빠르게 이동하는 방법은 무엇인가요?
A: 단일키 탐색. (애플에서 부르는 방식이며, 국내에서는 부르는 말이 없음)

웹 브라우저 관련

Q: 엣지에서 새 페이지를 새 탭이 아닌 새 창으로 열려면 어떻게 해야 하나요?
A: Shift + Enter 외에, 홈페이지 언어에서 새 창으로 열도록 태그를 설정해야 합니다. 또는, 구글처럼 환경설정 탭에서 새 탭/새 창 오픈 모드를 설정할 수 있도록 제공해야 합니다.

Q: 크롬에서 버튼이 자동으로 눌리는 문제가 있습니다.
A: 센스리더 자료실 게시판에 올라온 크롬용 패치를 설치하면 해결됩니다. (2023년 2월 27일자 대화 참고)

Q: 크롬에서 구글 검색 시 검색 결과가 제대로 출력되지 않고, '검색 기능', '개인 검색' 등의 버튼으로 가려집니다.
A: (해결 방법 확인 필요)

Q: 인터넷 창에서 Tab 키를 눌러도 링크가 넘어가지 않거나, 로딩이 덜 됐을 때 Tab으로 탐색 시 맨 아래로 이동하는 등의 문제가 있습니다.
A: 센스리더 8.15 버전에서 해결될 수 있음.

Q: 엣지에서 바탕화면에 바로가기를 만들려면 어떻게 해야 하나요?
A: 바탕화면에서 팝업 키를 누르고 새로 만들기 -> 바로가기를 선택하여 URL 주소를 입력합니다.

Q: 크롬 유튜브에서 자막을 어떻게 제어하나요?
A: 어떤 영상은 자막을 자동으로 계속 읽어주지만, 어떤 영상은 몇십 초에 한 번씩 띄엄띄엄 읽어주기도 합니다. (컨트롤 방법 확인 필요)

웹사이트 관련

Q: 중앙교육연수원에서 PC로 연수를 수강하려면 어떻게 해야 하나요?
A: PC로 중앙교육연수원 로그인 후, Tab 키를 눌러 '모바일' 메뉴에서 엔터, '나의 연수'에서 엔터, '수강 과정'에서 엔터, '이어보기'에서 엔터, '동영상 재생'에서 엔터 하면 연수 수강이 가능합니다. (스크린리더를 활용한 중앙교육연수원 PC 수강 방법.hwp 파일 참고)

Q: 중앙교육연수원 설문 체크박스가 체크되었는지 피드백이 되지 않습니다.
A: 스크린리더로 확인 불가. 해당 답안에서 엔터를 치면 체크는 되지만, 체크 여부는 확인 불가.

  • Q: 중앙교육연수원에서 스크린리더만으로 시험을 볼 수 있나요?
    A: 가능은 하지만, 설문과 마찬가지로 체크 여부 확인이 어렵습니다.

Q: 국가대체자료공유시스템(국장도) 로그인이 안 됩니다.
A: 서버 접속 오류. 국립장애인도서관 로그인 등 회원 서비스 이용 중단 공지 확인 필요.

Q: 국장도에서 내 서재 하위 메뉴 탭이 없고, 디지털 도서 미리 보기 신청 목록 링크도 없습니다.
A: 홈페이지 구조상 내 서재 하위 메뉴 탭이 없고, 디지털 도서 미리 보기 쪽에도 신청 목록 링크가 없습니다.

Q: 우리말 배움터 사이트가 한소네에서 열리지 않습니다.
A: 웹 브라우저로 열리지 않으면 크롬을 활용하세요.

Q: 에듀에이블에서 교과서를 다운로드 받을 수 없습니다.
A: (자료가 많이 있는지, 검색이 잘 되는지 확인 필요)

  • Q: 인디스쿨 같은 사이트에서 하위 메뉴에 센스리더로 접근이 안됩니다.
    A: 마우스로 포커싱을 하면 그 때부터 키보드로 접근이 가능해진다.

5. 기타 프로그램 관련 Q&A

PC 카카오톡 관련

Q: PC 카톡에서 묶음 사진을 저장하려면 어떻게 해야 하나요?
A: 해당 채팅방에서 Ctrl+J를 눌러 사진/동영상 탭으로 이동한 후, 묶음 사진을 선택하고 저장합니다. 또는, 톡서랍에서 해당 사진을 선택하여 열고 저장, 또는 채팅방에서 Shift+Tab으로 대화 목록으로 이동 후, 다운로드할 사진에 방향키 놓고 팝업 키를 눌러 저장.

  • Q: PC 카톡에서 전송 실패 메시지를 삭제하려면 어떻게 해야 하나요?
    A: 해당 메시지에서 팝업 키를 누르면 메시지 삭제 가능.

Q: PC 카톡에서 메시지 도착 알림은 뜨는데 정작 메시지가 안 보이는 경우가 있습니다.
A: 메시지 복사 후 붙여넣기. ('메시지가 도착했습니다'에서 한 손가락 아래 쓸기 하여 복사, 다른 편집창에 붙여넣기)

Q: PC 카톡에서 멘션 기능은 어떻게 사용하나요?
A: 모바일에서는 골뱅이(@) 기호 누르고 대화명 입력. PC에서는 대화창 최대화 후, 마우스 키패드 이용.

Q: PC 카톡에서 채팅창 입력 내용을 수정하려는데 읽어주지 않습니다.
A: 탭 키로 이동하여 읽을 수는 있지만, 수정은 불가.

엑셀 관련

Q: 엑셀에서 한 자리 수와 두 자리 수가 섞여 있는 데이터를 정렬하면 순서대로 되지 않고 10, 11, 12, ..., 1, 20, 21... 순으로 정렬됩니다. 해결 방법이 있나요?
A: 정렬할 셀을 전체 선택하고, 셀 범주를 '문자'에서 '숫자'로 변경해 보세요. 또는, 한 자리 숫자 앞에 0을 붙여 두 자리 수로 만들면 됩니다. (예: 2 -> 02, 8 -> 08)

Q: 엑셀에서 블록 설정 및 복사는 어떤 단축키로 하나요?
A: Ctrl + Shift + 방향키를 누르면 데이터 값이 입력된 마지막 지점까지 블록이 잡힙니다.

Q: 엑셀에서 접근 불가한 셀에 접근하려면 어떻게 해야 하나요?
A: 셀 잠금 설정이 되어 있으면 비밀번호를 입력해야 합니다.

Q: 엑셀에서 시트 순서나 시트명을 변경하려면 어떻게 해야 하나요?
A: 시트명 변경은 바꾸려는 시트에서 F2, 시트 순서 변경은 (방법 확인 필요)

Q: 엑셀에서 센스리더로 글자 크기, 색상 등을 확인하는 방법이 있나요?

  • A: Ctrl + Ins + A

구글 관련

Q: 구글 설문지를 센스리더로 작성하는 방법이나 강의가 있나요?
A: 실로암이러닝센터에 관련 강의가 있습니다.

Q: 구글 드라이브가 제대로 연동이 안 되는 느낌입니다.
A: 지웠다가 다시 깔고 로그인. 컴퓨터 용량 문제일 수도 있으니 용량 확인. 각 컴퓨터에서 동기화가 제대로 되는지 환경설정 확인.

Q: 데스크톱용 구글 드라이브 설명서가 있나요?
A: '데스크톱용 구글 드라이브 간단 설명서 블로그 참고(https://posthaven.com/dashboard#sites/16683)

Q: 구글 드라이브 학교 계정에는 '내 드라이브'와 '공유 드라이브' 폴더가 있는데, 개인 계정에는 '공유 드라이브' 폴더가 없습니다. 어떻게 생성하나요?
A: 개인용 구글 드라이브에는 '공유 드라이브' 폴더가 없고, 조직에서 워크스페이스를 구매한 경우에만 생성됩니다. 공유 드라이브는 '내 드라이브'와 같은 위치에 생성되는 것이 아니라, '내 드라이브' 안에 해당 폴더의 바로 가기가 생성됩니다.

Q: 구글 스프레드시트에 올라온 목록을 보고 싶은데, 읽히지도 않고 문자열 찾기로도 나오지 않습니다.
A: 가상 커서를 해제하고 Ctrl + Alt + Z를 눌러 스크린리더 모드로 변경 후 확인합니다.

Q: 구글 스프레드 시트에서 작성된 내용을 한글 문서에 붙여넣기 했는데 링크가 걸리지 않습니다.
A: 구글 시트 문서를 한글 파일에 복사, 붙여넣기 한 후 엔터를 치면 하이퍼링크가 걸립니다.

Q: 모바일 구글 스프레드시트 앱에서 셀 내용을 수정하려면 어떻게 해야 하나요?
A: 수정하고자 하는 셀을 선택 -> 화면 하단의 '수정' 버튼 실행 -> 셀 내용 편집창에 내용 수정 -> 화면 상단의 '완료' 버튼 실행

Q: 구글 스프레드시트의 내용을 수정하고 공유하려면 어떻게 해야 하나요?
A: 스프레드시트 앱 실행, 시트 문서 선택, 수정하고자 하는 셀 선택, 화면 하단 부분에서 수정 버튼 찾아서 실행, 셀 내용 편집창에 내용 수정, 화면 상단에 완료 버튼 실행.

Q: 구글 스프레드시트 파일을 엑셀 파일로 다운로드 받으려면 어떻게 해야 하나요?
A: 파일 메뉴에서 '다운로드' 옵션 선택.

Q: 아이폰에서 구글 스프레드시트 링크에 접속해서 내용을 수정하려면 어떻게 해야 하나요?
A: 링크 접속 -> 상단 '수정' 이중 탭 -> 스프레드시트 앱 다운로드 -> 앱 실행 후 화면 가장 위에 나타나는 스프레드시트 문서명 이중 탭 -> 수정할 셀 찾아서 이중 탭 -> 하단의 '수정' 버튼 찾아서 이중 탭 -> 내용 수정 -> 화면 상단의 '완료' 버튼 이중 탭.

AI 관련

Q: 챗GPT를 활용하여 간편하게 단어 검색 등을 하려면 어떻게 해야 하나요?
A: ChatGPT 앱을 설치하고, 계정 생성 후, 앱 실행하여 'menu' 버튼을 누른 후 가입한 계정을 입력합니다. 수정 창에서 질문 입력 후, 'send Message' 버튼을 누르면 답변이 표시됩니다. (자세한 내용은 2024-03-29 대화 참고)

Q: 챗GPT에서 이미지 OCR이 안됩니다.
A: 챗GPT에서 OCR 기능을 사용하려면, 이미지 첨부 후 OCR을 직접 요청하지 말고, 이미지 내용을 질문하면 됩니다. 또는, 모델을 변경하거나(4o->4), 다른 프로그램(센스플레이어, 파인리더, 비 마이 AI)을 사용합니다.

Q: 챗GPT 유료 버전과 무료 버전의 차이는 무엇인가요?
A: 유료 버전은 인터넷 검색, 더 많은 토큰 수, 더 높은 지능(GPT-4) 등을 제공합니다.

Q: 아이폰에서 챗GPT의 음성 대화 모드를 사용하려면 어떻게 해야 하나요?
A: 아이폰 단축어(숏컷) 앱에서 챗GPT가 제공하는 '음성 대화 시작' 단축어를 길게 탭하여 홈 화면에 바로가기를 추가하면, 앱 실행 없이 바로 음성 대화 모드로 진입 가능.

Q: chatGPT에서 학습지 그림에 대한 이미지를 만들때, 원하는 그림이 정확하게 나오지 않습니다.
A: 비슷한 다른 이미지를 학습시키고, 변경하고 싶은 점을 구체적으로 요청하면 좋습니다.

Q: 챗GPT에서 저장한 이미지는 아무 컴퓨터나 폰에서나 열 수 없나요? 확장자는 jfif로만 받을 수 있나요?
A: 이미지 근처의 '이미지 다운로드' 버튼을 누르면 컴퓨터 다운로드 폴더에 저장되며, 확장자는 jpeg입니다. 또는, 옵션에서 '다른 이름으로 저장'을 선택하여 형식을 변환할 수 있습니다.

Q: 퍼플렉시티는 어떤 프로그램인가요?
A: AI 기반 검색엔진.

기타

Q: Zoom 화면 공유 시, PPT가 나타나지 않는 경우가 있습니다.
A: 화면 공유(Alt+S) 후 방향키와 탭으로 이동해도 PPT가 나타나지 않으면, 일단 아무 곳이나 클릭하여 공유를 시작한 후, 창 전환하면서 청중들에게 해당 창이 보이는지 질문합니다.

Q: 유튜브에서 오프라인 저장한 영상을 파일로 가져올 수 있나요?
A: 오프라인 저장 동영상 메뉴에 있는 영상을 파일로 가져와 편집하는 것은 불가능합니다.

  • Q: OBS로 녹화했는데 소리만 녹화되고 화면이 녹화되지 않습니다.
    A: 그래픽 카드가 지포스면 별도 설정이 필요하고, 디스플레이 설정을 전체로 하지 않아서 생기는 문제일 수 있습니다. 녹화 화면에서 팝업 키를 눌러 설정을 확인합니다.

Q: BRF 파일을 음성으로 들을 수 있는 방법이 있나요?
A: 없습니다.

Q: 점자 파일 중 BRF 형식을 텍스트로 변환할 수 있나요?
A: 한소네에서 형식만 바꿔서 저장하거나, 해당 파일에서 Enter+T를 눌러 파일 변환 기능 실행 후 변환 파일 형식을 텍스트 파일로 지정. (완벽 변환은 안 됨)

Q: 곰믹스 사용이 가능한가요?
A: 좌표 설정해서 위치 기억시키는 것이 어렵고, 간단한 편집은 아이무비가 더 쓸 만합니다.

Q: 원노트를 활용하여 파일 공유를 하려고 하는데, 센스리더로 접근이 가능한가요?
A: 센스리더로 접근이 잘 안 되므로, 모바일 앱으로 먼저 시도해 보는 것을 추천합니다.

Q: 스마트노트라는 프로그램은 어떤 프로그램인가요?
A: 윈도우 11에서 메모장이 불안정할 때 사용할 수 있다. 비프음으로 문서의 처음과 마지막을 알려주고, 구글 음성과 연동하여 여러 나라의 음성으로 글자를 읽을 수 있다. 또한, MP3로도 저장 가능하며, chat GPT와도 연동된다.


6. 한소네 관련 Q&A

Q: 한소네 키 잠금 스위치가 모두 사용인데도 아무 키도 작동하지 않습니다.
A: 키 잠금 스위치 확인, 재시작, 한손 모드 확인(전원 끄고 F4 누르면서 전원 켜기), 콜드 리셋(전원 왼쪽 삼각형 누르고 재부팅) 등을 시도해 보세요. 문제가 지속되면 A/S를 받아야 합니다.

Q: 한소네 업데이트는 어떻게 하나요?
A: 온라인 업데이트를 시도하거나, 넓은마을 게시판에서 오프라인 업데이트 파일을 받습니다. (2021년 버전 이하일 경우 셀바스에 문의)

Q: 한소네에서 구글 드라이브를 사용하려면 어떻게 해야 하나요?
A: 탐색기에서 구글 드라이브에서 엔터, 탭(F3) 키로 로그인 메뉴를 찾아 아이디, 비밀번호 입력 후 로그인, 동의/허용 등을 해주면 됩니다.

Q: 한소네에서 컴퓨터 점자는 어떻게 입력하나요?
A: (입력 방법 확인 필요)

Q: 한소네 U2 환경설정을 모두 리셋하려면 어떻게 해야 하나요?
A: 리셋 버튼 여러 번 눌러도 안되면, 콜드 리셋(리셋 버튼 누르면서 앞에 멀티미디어 제어하는 오른쪽 방향키를 같이 길게 누름)을 시도합니다. 그래도 안되면 배터리를 뺐다가 다시 끼웁니다.

Q: 한소네 콜드 리셋 방법은 무엇인가요?
A: 전원 버튼을 길게 눌러 전원을 완전히 끈 후, 전면 미디어 다음 버튼과 전원 버튼을 10초 이상 동시에 누릅니다. 비프음이 출력되면 전원 버튼에서 손을 떼고, 미디어 다음 버튼은 탐색기 메뉴가 뜰 때까지 누릅니다.

Q: 한소네에서 HWPX 파일을 읽을 수 있나요?
A: 한소네6 계열 베타 업그레이드에서 HWPX 파일 읽기 기능이 추가되었습니다. (2023년 3월 30일자 대화 참고)

Q: 한소네6에서 구글 플레이스토어 앱 검색 창을 찾을 수 없습니다.
A: 한소네에서는 안드로이드 운영체제가 터치패드 기반이라 사용이 어렵습니다. 컴퓨터에서 Playstore를 접속하여 원격으로 설치 명령을 내리는 방법도 있습니다.

Q: 한소네6에서 카톡은 어떻게 실행하나요?
A: 애플리케이션 기능 안에서 실행 가능합니다. 최신 버전에서는 폰과 동시 이용이 가능합니다.

Q: 한소네6에서 우리말 배움터에 접속했는데 아무것도 안 뜹니다.
A: 웹 브라우저로 안 뜨면 크롬을 활용하세요.

Q: 한소네6에서 녹음했는데, 녹음 시간에 비해 총 시간이 지나치게 길거나, 녹음 파일 일부 소리가 나지 않습니다.
A: (복구 가능 여부 및 해결 방법 확인 필요)

Q: 한소네6에서 대문자를 입력하려면 어떻게 해야 하나요?
A: 백스페이스와 스페이스를 누르고 알파벳을 입력하거나, 스페이스 136을 한 번 누르고 첫 글자를 입력합니다.

Q: 한소네6에서 와이파이 비밀번호 입력 시, 대문자를 입력하려면 어떻게 해야 하나요?
A: 백스페이스 + 스페이스 누르고 알파벳 입력. 또는, 스페이스 136 누르고 첫 글자 대문자로 입력.

Q: 한소네에서 특정 파일(예: 손으로 보는 세상)이 센스 독서기나 센스 플레이어에서 열리지 않습니다.
A: (파일 자체 문제일 수 있음. 다른 파일로 테스트 필요)

Q: 한소네에서 유튜브를 사용할 때, 단축키가 작동하지 않고 이미지라고만 나옵니다.
A: 프로그램 사용 중지하고, F9 눌러 가상 커서 탭 방식으로 바꾼 후 사용.

Q: 한소네에서 USB 연결하여 파일 복사 시, 쓰기 금지 문제가 발생합니다.
A: (해결 방법 확인 필요, 여러 번 시도, 재부팅 등)

Q: 한소네에서 충전기를 연결한 상태에서는 전원이 안 꺼지고 Charging과 충전 진행 상황만 뜹니다.
A: 충전 중에는 전원이 꺼지지 않는 것이 정상입니다.

Q: 한소네 충전이 안 됩니다.
A: 충전기를 새로 구입하거나, A/S를 받아야 합니다.

Q: 한소네에서 숫자를 입력하려면 어떻게 해야 하나요?
A: 수표를 빼고 내림 숫자로 입력 (1은 2점, 2는 2-3점, 3은 2-5점 등)


7. 아이폰 관련 Q&A

Q: 아이폰 보이스오버 관련 문제가 발생했습니다. (예: 속도 조절 문제, 화면 커튼 켜짐/꺼짐 문제, 포커스 튐 문제 등)
A: 아이폰 재시동, 보이스오버 설정 확인, iOS 업데이트 등을 시도해 보세요.

Q: 아이폰 설정 중 교에 포커스를 두면 풀어서 읽어주는 기능을 어디에서 설정하나요?
A: (설정 방법 확인 필요. 로터를 문자에 맞춰 놓고 한 손가락 위아래 스와이프하면 읽어줌.)

Q: 아이폰에서 카톡 메시지 도착 알림이 울리지 않습니다.
A: 아이폰 재부팅, 카톡 설정 확인, 무음 모드 해제 등을 시도해 보세요.

Q: 아이폰에서 카톡 음성 메시지를 파일로 저장하려면 어떻게 해야 하나요?
A: (방법 확인 필요)

Q: 아이폰에서 통화 끊기를 오른쪽 버튼으로 설정하려면 어떻게 해야 하나요?
A: 설정 > 손쉬운 사용 > 터치 > 잠금하여 통화 종료 방지 끔

Q: 아이폰에서 HWPX 파일을 읽으려면 어떻게 해야 하나요?
A: (방법 확인 필요)

Q: 아이폰에서 쿠팡 앱 상품 목록을 보이스오버가 잘 읽어주지 않습니다.
A: (보이스오버 설정 문제인지 확인 필요)

Q: 아이폰에서 갑자기 보이스오버 소리와 다른 미디어 소리가 하나도 나지 않습니다.
A: 강제 재시동, 유선 이어폰 연결 후 해제 등 시도.

Q: 아이폰 키보드에서 입력 시 음소와 발음이 함께 나와 정신없습니다. 음소만 출력되게 하려면 어떻게 해야 하나요?
A: 손쉬운 사용 > 보이스오버 > 입력 > 발음 기호 피드백 > 끔

Q: 아이폰에서 통화 목록에 사람 이름이 두 개 이상 뜨고 페이스타임으로 걸리는 문제가 있습니다.
A: 통화 목록을 전부 지운 후 전원을 껐다 켜면 해결.

  • Q: 아이폰에서 유튜브를 보다가 트랙 이동을 할 수 있는 부분이 안 보일 때가 있습니다.
    A: 손가락 3개로 밑에서 위로 쓸어 올리는 것을 반복하여 1페이지라고 읽어주는 곳까지 이동하면 트랙이 보입니다. 또는, 최상단으로 가서 동영상 플레이어를 한 번 더 클릭하면 창이 뜨면서 트랙이 보입니다.

Q: 아이폰에서 텍스트 대치가 갑자기 안됩니다.
A: 폰을 껐다 켜본다.

Q: 아이폰에서 에어플레인 모드일 때 텍스트 파일을 읽으려면 어떻게 해야 하나요?
A: 리드애니 센스 드라이브에 올려서 열거나, 리드애니 폴더에 넣고 로컬 드라이브에서 열거나, 리디북스 앱 이용.

Q: 아이폰에서 갑자기 폴더에 앱 추가가 안됩니다.
A: 이중 탭을 길게 한 다음 삐빅삐빅 소리가 나면 앱 이동이 가능. 손가락으로 계속 누르고 있는 상태에서 앱을 움직여서 폴더에 겹쳐 놓으면 폴더를 연다는 음성 출력. 또는, 로터로 드래그 섹션을 만든 후 사용.

Q: 아이폰에서 카톡 채팅창에서 전송 버튼을 누르면 '일곱 개의 검색 제한'과 같은 말을 합니다.
A: 자동 완성 끄기, 또는 채팅방 밑에 #검색을 누르고 아무 글자나 입력.

Q: 아이폰 키보드 타자 칠 때 햅틱을 없애려면 어떻게 해야 하나요?
A: 설정 - 사운드 및 햅틱 - 키보드 햅틱 끔

Q: 아이폰에서 화면이 잠겨 있을 때는 괜찮은데, 화면을 풀고 무슨 작업을 하면 문자, 카톡 수신 알림이 묵음이 됩니다.
A: 재부팅, 설정 확인, 무음 모드 해제 등을 시도. 폰을 무음 모드 상태에서 사용하거나 이어폰, 헤드폰으로 사용할 때 발생할 수 있음.

Q: 아이폰에서 자막을 읽어주게 하려면 어떻게 해야 하나요?
A: 손쉬운 사용 - VoiceOver - 상세 정도 - 미디어 설명

Q: 아이폰에서 핫스팟을 노트북에 연결했는데, 폰을 들고 나갔다 오거나, 핫스팟 연결 상태에서 전화를 받으면 핫스팟이 끊깁니다.
A: (자동 연결 방법 확인 필요)

Q: 아이폰에서 갑자기 말하기 막대, 확대 등 메뉴가 뜹니다. 어떻게 없애나요?
A: (설정 확인 필요)


8. 모바일 앱 관련 Q&A

Q: 카톡 멀티미디어 버튼 접근성이 떨어집니다.
A: 멀티미디어전송메뉴를 열고 나서 편집창이나 대화내용을 만나지 말고, 화면 아래쪽을 터치해야 합니다. 또한, 멀티미디어전송메뉴 안에서 닫기 버튼이 잡히지 않으면 대화내용 쪽(위쪽)을 터치해야 합니다.

Q: 카톡으로 글자가 적힌 사진이 오면 '텍스트 감지' 버튼이 생기는데, 눌러도 아무것도 안 나옵니다.
A: 텍스트 감지 누르면 사진에 있는 텍스트가 문서 인식되어 읽을 수 있음. 또는, 사진을 두 번 탭하고 꾹 누르면 전체 선택, 선택 탭이 나오는데 전체 선택 후 복사하여 메모장 등에 붙여넣기. (보이스오버만으로는 쉽지 않음. 자세한 방법은 2023-02-22 대화 내용 참고)

Q: 카톡에서 상대방에게 메시지가 왔을 때 "일곱 개의 검색 제안"과 같은 말을 계속합니다.
A: 자동완성 끄기, 또는 채팅방 밑에 있는 #검색을 누르고 아무 글자나 입력해도 같은 말이 나옵니다.

Q: 카톡에서 메시지 도착 알림("메시지가 도착했습니다 채널")만 뜨고, 채널 추가 등 여러 동작을 해도 내용이 보이지 않습니다.
A: 메시지 복사 후 붙여넣기. ('메시지가 도착했습니다'에서 한 손가락 아래 쓸기하여 복사, 다른 편집창에 붙여넣기)

Q: 오픈 채팅방에서 누군가를 내보내려면 어떻게 해야 하나요?
A: 방장만 가능합니다.

Q: 토스 앱에서 계좌별 금액이 보이지 않는 문제가 있습니다.
A: 토스 앱 업데이트 후 발생. 설정에서 '계좌 금액 숨기기/보이기'를 시도하거나, 고객센터에 문의하여 임시 오류 해결 및 업데이트 요청.

Q: 음성으로 모르는 곳 전화번호를 검색해서 전화를 걸려면 어떻게 해야 하나요?
A: 구글 어시스턴트 앱을 설치하고 실행, 마이크 활성화 후 "...에 전화 걸어"라고 말하면, 전화번호 검색 후 전화 연결.

Q: 쿠팡 앱 사용 시, 상품 검색 후 상품 목록을 보이스오버가 잘 읽어주지 않습니다.
A: (보이스오버 설정 문제인지 확인 필요)

Q: 요기요 앱 접근성이 어떤가요?
A: 접근성이 상당히 좋아졌고, 배달의민족보다 할인 혜택도 많습니다.

Q: 쿠팡이츠 앱 접근성은 어떤가요?
A: 접근성이 매우 떨어집니다. (배달의 민족과 비교)

Q: SSG페이 사용이 편리한가요?
A: 카드 등록 후 사용 가능. 이마트에서 홈 서비스로 장을 자주 볼 경우 유용.

Q: 밀리의 서재 PC 뷰어 사용이 가능한가요?
A: (센스리더 접근성 확인 필요)

Q: 넷플릭스에서 자막을 읽어주게 하려면 어떻게 해야 하나요?
A: 손쉬운 사용 -> VoiceOver -> 상세 정도 -> 미디어 설명

Q: 리디북스 PC 뷰어는 어떤가요?
A: 내용 센스리더로 읽을 수 있다는 장점이 있지만, 사용 자체가 불편.

Q: 코레일 앱에서 출발역과 도착역을 눌러도 편집창이 안 나옵니다.
A: 화면이 바뀌면서 검색창과 주변 역이 나오는지 확인.

Q: 코레일톡 열면 뜨는 창에서 '오늘 하루 보지 않기' 확인은 어떻게 하나요?
A: (방법 확인 필요)


9. 기타 Q&A

Q: 리보 키보드에서 톡방 안에서 메시지나 메뉴를 빨리 넘기려고 이동키를 빠르게 누르면 받아쓰기가 실행됩니다. 설정을 통해 없앨 수 있나요?
A: (설정 방법 확인 필요)

Q: 리보 키보드에서 천지인 타속이 느리고, 입력한 글자들이 누락됩니다.
A: (펌웨어 업데이트 등으로 개선 가능한지 확인 필요)

Q: 시각장애인용 주사위는 어디서 구매할 수 있나요?
A: (구매처 확인 필요)

Q: 점사랑 사용법 중, 한글에서처럼 '새 번호로 시작'이나 특정 페이지에 쪽수를 안 넣는 방법이 있나요?
A: @@spn 명령어로 가능.

Q: 한글 창을 두 개 이상 띄워 놓았는데 알트 탭을 눌러도 바뀌지 않고 한 한글 창만 나옵니다.
A: 컨트롤 탭으로 새 탭으로 열렸는지 확인.

Q: 센스원 윈도우즈 업데이트 이후로 메모장을 실행하면 센스리더가 내용을 읽지 못합니다.
A: 센스원 3.15 베타 패치.

Q: PC에서 센스월드 로그인이 되지 않습니다.
A: 센스월드 업그레이드. 또는, 엑스비전 홈페이지에서 받은 걸 다시 설치해서 업그레이드.

Q: 컴퓨터에서 Fn키는 어디에 있나요?
A: 키보드마다 다르지만, 키보드 제일 하단 왼쪽 또는 그 옆 키인 경우가 많음. 또는, 오른쪽 제일 상단.

끝.